내년에 시행되는 대선을 노리는 잠룡들은 13일 치러진 4.13 총선 결과에 따라 희비가 교차했다.
그간 대권 유력주자로 각종 여론조사에서 순위권을 지키던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의 경우 과반이 붕괴되는 등 ‘선거 참패’에 대한 책임론으로 대권 가도에 빨간등이 켜졌다. 특히 공천을 놓고 계파 갈등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친박(친박근혜)계 공천학살과 비박(비박근혜)계 탈당·무소속 출마를 모두 막지 못해 리더십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정치적 고향 부산에서 6곳을 내주며 선거 패배의 후유증은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된다.
박근혜 정부 ‘실세’에서 ‘진박 감별사’로 정계에 돌아온 최경환 의원도 공을 들인 대구에서 4개 선거구를 내주는 ‘무소속 열풍’을 막지 못했다. 이에 따라 선거 이후 당권을 거머쥐고 대권으로 단계를 밟아가려는 계획에도 차질이 빚어질 전망이다.
총선을 거쳐 대권으로 도전하려다 선거 자체에서 패배한 이들도 있다. 오세훈 전 서울시장은 당의 만류에도 ‘정치 1번지’ 종로에 출마를 고집했다가 패배하면서 정계 재기가 어려울 것이라는 평가까지 받고 있다. 김문수 전 경기도지사도 여당의 핵심부인 대구에서 더불어민주당 김부겸 당선인에게 지면서 내년 대선 도전이 쉽지 않아 보인다.
반면 새누리당을 탈당해 무소속으로 승리를 거머쥔 유승민 당선인은 대구에서 압도적인 득표율을 보이며 지역민들의 신임을 확인했다. 이번 승리를 통해 향후 포스트 박근혜 정국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친박(친박근혜)계 반대 속에 복당 문제와 자신의 세력구축이라는 과제가 남아있다.
야권 잠룡들도 선거 결과만을 바라보고 웃을 수만은 없는 상황이다 더민주 문재인 전 대표는 당이 123석의 성적표를 거두며 제1당으로 올라서며 체면을 살렸지만 국민의당 ‘호남돌풍’을 막지 못했다. 이는 향후 대권 행보에도 치명타로 작용할 예정이다. 다만 문 전 대표는 음지에서 선거전에 뛰어들어 지지층 결집을 이끌어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국민의당 안철수 상임공동대표는 호남을 자신의 정치적 기반으로 만드는데 성공하면서 대권 가도에도 ‘파란불’이 켜졌다. 특히 더민주의 ‘단일화’ 제안을 거부하는 등의 승부수를 성공시켜 단숨에 야권 유력 대권 주자로 발돋움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