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같은 급등락세는 미국 금리인상과 향후 인상 속도에 대한 불안감과 중국 경기불안, 유가급락 등이 원인이다. 대내적으로도 수출 부진이 지속되고 있는 데다 내수마저 좀처럼 회복될 기미를 보이지 못한 탓에 성장에 대한 의구심이 확산되고 있어서다.
더 큰 문제는 원ㆍ달러 환율 급등락세가 진정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올 들어 10원 넘게 급등락한 적은 6거래일에 달한다. 1월 기준 원ㆍ달러의 전일 대비 변동폭도 6.1원을 기록 중이다. 미국 금리인상 우려가 불거졌던 지난해 10월 6.8원 이후 석 달 만에 가장 높다. 환율 변동폭은 2014년 3.5원에서 지난해 5.3원으로 확대된 바 있다.
환율 급등락은 경제 전반에 불필요한 불안감을 확산시킬 수 있다. 주식시장에서 코스피는 1월 한때 1850선이 붕괴되기도 했다. 실물경제도 타격이 불가피하다. 그나마 양호한 경제 펀더멘털을 훼손시킬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박종규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환율이 불필요하게 변화하는 모습은 경제 펀더멘털과 관계없이 원화가 안전하지 않을 수 있다는 심리를 키울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승호 자본시장연구원 국제금융실장도 “아직은 우리 경제가 감내 가능한 수준이긴 하나 과도한 불안심리는 안정시킬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대외 불안감에도 우리 경제는 여타 신흥국과 차별화될 수 있다는 게 정부당국과 경제전문가들의 판단이다. 실제 불황형 흑자 논란에도 경상수지 흑자폭은 지난해 1060억 달러에 육박하며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외환보유액 역시 1월 기준 3673억 달러를 기록 중이다. 반면 총대외채무에서 차지하는 단기외채비중은 29.2%에 그치고 있다.
다만 환율 변동성 확대는 국제투기꾼들의 표적이 될 수 있다. 핫머니가 유입될 경우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를 다시 맞을 수 있다는 우려다. 벌써부터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외환건전성 부담금, 선물환포지션 한도, 외국인채권투자과세 등 거시건전성 3종 세트를 강화해 자본이동에 대한 장악력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조언한다. 아울러 궁극적으로는 환율변동성에 대한 체력 강화가 절실하다고 봤다. 김창배 한국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기업은 경쟁력 강화에 노력하고 정부도 구조개혁에 대한 구체적 노력을 보여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