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대우증권의 합병 후 자기자본 규모는 약 8조원이다. 합병 법인은 오는 2020년까지 자기자본 10조원, 세전이익 1조원, 세전 자기자본이익률(ROE) 10% 달성을 목표로 세우고 있다. 그러나 아시아 최대 규모 IB인 노무라증권의 자기자본이 24조원인 것과 비교하면 아직 차이가 크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무대에서 규모의 경쟁을 하려면 위험을 감당할 수 있는 자본력이 뒷받침돼야 한다”며 “미래에셋-대우증권 합병 법인은 국내에서는 독보적 1위 업체가 되겠지만 노무라, 골드만삭스 등 글로벌 거대 자본보다 규모에서 한참 뒤지는 것이 현실”이라고 말했다.
규모는 물론 새로운 서비스와 전문성에서도 아직 특별한 활로를 찾지 못했다는 평가도 나온다. 박현주 미래에셋 회장이 산은자산운용을 헤지펀드 전문 운용사로 키우고 대체투자(AI)를 강화하겠다고 밝혔지만 이는 최근 글로벌 IB들의 변화 추세를 따라가는 것일 뿐 참신한 전략은 아니라는 지적이다.
한 증권사 증권업 담당 애널리스트는 “규모와 전문성 모두에서 미래에셋-대우증권 합병 법인이 부족하기 때문에 글로벌 IB와 직접 경쟁은 힘들 것”이라며 “호주의 투자은행이나 증권사들이 인프라 투자를 개척한 것처럼 아시아 지역에 특화된 IB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야 승산이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금융위원회는 지난해 운영한 현장점검반에서 나온 건의사항을 수용해 ‘금융투자업자의 기업금융 기능 강화 등 경쟁력 강화방안’을 내놨다. 그러나 아직 ‘그림자 규제’가 남아 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4일 김철배 금융투자협회 전무는 “최근 금융당국이 관련 규제를 완화하며 돕고 있지만 아직 세계 IB 주역들과 겨루기에는 장애요소가 많다”며 “합병 법인의 해외진출을 위해 금융당국의 전폭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 증권사 기업금융 업무 관계자는 “IB 업무 시 유치산업을 키워 나가는 과정에서 관계금융이 필요한 경우 자기자본투자(PI)가 일어날 수 있다”며 “특히 해외에서 PI를 할 때 해당 국가와 국내 감독당국의 이중 규제를 받아야 하는 부분에 대한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