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산업 전망] 건설, 분양잔치 끝… 민간·토목 수주액 각각 15% 떨어질 것

입력 2016-01-04 11:0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지난해 분양시장 열기로 활황을 누린 건설업계는 올해 급격한 경기하강을 보일 전망이다. 정부의 SOC 예산 축소와 주택 공급 과잉 등 대내외적 악재가 불확실성을 확대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다만 녹색 건설부문 사업 기회 확대 등의 호재도 존재할 것이라는 예측도 나온다.

건설업계는 크게 토목 수요 축소와 주택 초과공급의 이중고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된다. 민간·건축 부문에서는 주택 과잉공급 문제가 본격화돼 미분양 증가와 집값 하락 우려가 현실화되고, 대출규제와 금리인상, 국내 경제성장률의 둔화 등의 리스크가 수요 위축과 거래 냉각을 발생시켜 결국 수주 둔화로 이어질 것이라는 지적이다. 정부의 올해 사회간접자본(SOC) 예산이 전년 대비 4.5% 감소한 23조7000억원으로 책정된 점도 공공부문의 수주 감소를 견인할 것으로 보인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지난해 전세 공급의 급감과 신규 분양의 활황으로 전세자금 대출 및 신규분양 집단대출 형태의 가계부채가 급증했다”며 “국내외 거시경제적 상황이 악화되고 전월세, 매매시장 간 수급 불균형이 해소되지 않는다면 가계부채 부실화 문제로 이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지난해 민간부문 건설 수주액을 2014년 61조3000억원보다 32% 증가한 81조원으로 추정하며 2016년엔 15% 떨어진 68조8000억원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부문별 전망에선 지난해 토목건설 수주액을 전년보다 33% 증가한 29조4000억원으로 예상, 2016년엔 15% 감소한 25조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건축부문은 2014년 65조6000억에서 지난해 79조6000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했지만 올해엔 12% 빠진 70조3000억원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녹색 건설부문 사업 확대는 업계에 호재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앞서 정부는 오는 202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 30%를 감축하겠다고 공식 선언했다. 이 가운데 건물(26.9%)부문의 감축률이 수송(34.3%)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아 건설업계가 이 분야의 사업을 확대할 수 있는 기회로 작용할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또 해외건설 산업의 위기에 대한 논의도 활발해질 전망이다. 현재 국내건설사들의 해외사업 미청구 공사대금은 약 17조원에 육박한다. 정부와 업계는 해외사업 수주지역 다변화, 저가 수주 방지, 구조조정 등 업계 재정비 움직임을 이어갈 전망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다 상술인건 알지만…"OO데이 그냥 넘어가긴 아쉬워" [데이터클립]
  • ‘2025 수능 수험표’ 들고 어디 갈까?…수험생 할인 총정리 [그래픽 스토리]
  • ‘백신 음모론’ 펼친 케네디 주니어, 보건부 장관 임명
  • 삼성전자, 'CES 2025' 최고 혁신상 4개 포함 29개 대거 수상
  • 北 김정은, 자폭공격형 무인기 성능시험 지도…‘대량 생산’ 지시
  • 韓 환율관찰 대상국 재지정…“국내 채권시장 최악의 시나리오, 환율 상향 고착화”
  • “증거 인멸 우려” 명태균·김영선 구속…검찰 수사 탄력
  • 프리미어12 한국 대표팀, 오늘 일본과 B조예선 3차전…중계 어디서?
  • 오늘의 상승종목

  • 11.15 10:02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5,382,000
    • -1.93%
    • 이더리움
    • 4,373,000
    • -3.17%
    • 비트코인 캐시
    • 593,000
    • -4.51%
    • 리플
    • 1,149
    • +18.09%
    • 솔라나
    • 299,400
    • -1.12%
    • 에이다
    • 832
    • +2.21%
    • 이오스
    • 790
    • +1.8%
    • 트론
    • 251
    • -0.4%
    • 스텔라루멘
    • 190
    • +9.2%
    • 비트코인에스브이
    • 91,650
    • +0.71%
    • 체인링크
    • 18,530
    • -2.06%
    • 샌드박스
    • 386
    • -2.5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