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환율을 바라보는 정부의 처지가 이야기속 노인과 비슷해 보인다. 환율이 오르면 수출기업에게는 좋지만 원자재 수입기업에게는 반갑지 않은 일이고, 환율이 내리면 그 반대이기 때문이다. 정부가 노인의 처지와 다른 점은 사고의 전환을 한다고 해도 환율 걱정에서 완전히 벗어날 수는 없다는 것이다.
이른바 ‘적정환율’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좋을 것인데 얼마가 적정수준인지에 대해서 입장과 처지에 따라 의견이 다르기에 모두를 만족시키기는 어려운 일이다. 설사 적정수준을 정의하더라도 그것을 유지하는 것도 난제이다.
지난 12월 16일(현지시간) 단행된 미(美)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과 더불어 최근 위안화 약세, 외국인 투자자금의 이동, 유가 하락이 복합되어 외환시장의 불확실성이 가중되고 있다. 그리고 그 결과 원달러 환율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다. 또한, 유로존과 일본의 양적완화 정책으로 인한 유로화와 엔화의 약세도 지속적으로 우려되는 상황이다. 외환시장의 수급요인과 대외환경 모두 우리 수출기업들이 기대하는 수준의 환율을 유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글로벌 투자자금은 이윤을 찾아 국경 없이 움직이고 있어 그에 따라 환율은 시시각각 변화할 수 밖에 없다. 더군다나 외환시장의 규모가 그리 크지 않은 반면 대외 개방도는 높은 우리나라의 경우, 작은 외부변수나 수급요인의 변화에도 환율이 크게 변동할 수 있는 구조이다. 그러다보니 정부가 일일이 대응하여 적정환율을 유지하는 것은 사실상 어려운 실정이다.
이런 상황이라면 우리 기업들도 ‘환율변동에 대한 대응력’을 키우는 것이 필요하다. 이미 대기업들은 선물환 등 민간 금융시장 환헷지 상품을 이용하여 환변동 위험에 대비하고 있지만 문제는 중소기업이다. 상대적으로 여건이 어려운 중소기업들은 정보부족이나 비용 등의 문제로 민간 금융시장의 환헷지 상품을 활용한 대비가 녹록지 않은 현실이다.
어렵다고 방법이 없는 것은 아니다. 수출대금 결제시점의 환율을 고정하여 환율변동 위험에 대비할 수 있는 무역보험공사의 ‘환변동보험’을 활용해 보는 것도 하나의 대응책이 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환변동보험’은 민간 금융기관의 선물환에 비해 이용이 간편하고 비용이 저렴한 중소중견기업 전용 환위험 관리 상품이다. 특히 최근에는 무역협회 등 수출지원기관들과 지방자치단체들이 중소 수출기업들을 위해 환변동보험료 지원사업도 시행 중이니 이를 잘 활용하면 비용 부담없는 환위험 관리가 가능하다.
우리 수출 중소기업들이 커지는 환율 변동성에 잘 대비해 환율 고민 없이 수출에 매진할 수 있도록, 무역보험공사가 조그마한 도움이 되길 기도해 본다.
무역보험공사 이천배 환위험관리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