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아시아 경제의 상황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가 마지막으로 금리를 올렸던 9년 전과 달라 이번 금리인상의 충격파를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고 블룸버그통신이 1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지금으로부터 9년 전인 2004년, 연준은 앨런 그린스펀 의장의 지휘 하에 긴축 국면에 들어갔다. 당시 아시아 경제는 견조했다. 일본이 경제 규모에서 세계 2위였고, 중국은 두 자리 성장을 계속했다. 동남아시아 신흥국은 성장세를 회복해 아시아 통화위기는 아득한 옛일처럼 여겨질 정도였다고 통신은 전했다.
그러던 것이 상황은 돌변, 연준이 재닛 옐런 의장의 지휘 하에 2006년 이후 처음으로 금리인상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아시아의 경제 전망은 9년 전보다 훨씬 좋지 않다고 통신은 지적했다. 중국은 경제 성장률이 25년 만의 최저에 그칠 전망이고, 일본은 3년새 두 번째 2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겨우 피했다. 여기다 아시아 지역에서는 자금이 유출되면서 과거에는 대접 받던 태국과 말레이시아 등은 부진을 겪고 있다.
옐런 의장이 이끄는 연준이 지난 9월에 금리 인상을 미룬 요인 중 하나도 아시아의 이같은 상황 때문이었다. 올여름 중국증시에서 5조 달러 가량의 시가총액이 증발하면서 중국 경제에 대한 우려가 증폭됐다. 미국 금융 당국이 긴축에 착수할 경우 아시아에 어느 정도의 악영향이 미칠 지에 대해선 애널리스트들조차 짐작하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분명한 리스크 중 하나는 거액의 달러 표시 채무다. 금리 인상에 따라 자금이 아시아 지역에서 유출돼 현지 통화 가치가 하락하면 대외 채무 상환은 더욱 어려워진다. 중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의 국가는 특히 치명적이다. 이코노미스트의 배리 아이켄그린, 리카르도 하우스만 두 사람은 ‘원죄’라는 말을 사용해 해외 차입을 해온 신흥국의 어려움을 강조했다.
한편에서 이러한 우려를 불식시키는 것이 외환 보유액 증가와 변동 환율제 도입, 비교적 탄탄한 재정 수지 동향이다. 일부 애널리스트는 이러한 방어가 미국 금리 인상의 영향에서 아시아를 보호하는 데 충분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의 이코노미스트 필딩 첸과 톰 오클릭은 중국은 회복력이 가장 강한 나라 중 하나라고 말했다. 이들 두 사람은 “미 금융 당국의 움직임은 광범위하게 전달돼 아시아가 급격한 자금 유출에 빠질 가능성은 낮다고 생각한다”며 “만일 그러한 사태가 되더라도 중국에 대한 영향은 한국 등 훨씬 익스포저가 큰 무역상대국에서의 수요 둔화를 통한 것이 되어 직접적인 타격은 없을 것”이라고 해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