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6일(현지시간) 캐나다에서 생산한 원유를 미국 걸프만 연안 정유공장 등으로 수송하는 키스톤XL 송유관 프로젝트를 최종적으로 불허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오바마 정부는 7년여에 걸쳐 이 프로젝트를 심사했으나 결국 종지부를 찍은 것이다. 키스톤 송유관 프로젝트를 둘러싼 심사는 정치적인 대립을 가져온 것은 물론 에너지정책과 기후변화, 미국 경제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논쟁으로 발전했다.
오바마 대통령이 키스톤 프로젝트를 거부한 가장 큰 이유는 환경 문제다. 그는 이날 백악관 성명에서 “국무부는 키스톤 송유관이 미국의 국익에 맞지 않는다고 판단했으며 나도 이 결정에 동의한다”며 “기후변화는 매우 중요한 과제이며 이 문제 해결을 위한 미국의 리더십이 요구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키스톤 프로젝트를 추진했던 송유관 운영업체 트랜스캐나다의 러스 걸링 사장 겸 최고경영자(CEO)는 “국무부의 심사는 오바마 대통령의 요구를 만족시키고자 억지로 이뤄진 것”이라며 “키스톤이 온실가스 배출 상황을 심각하게 악화시키지 않는다. 잘못된 상징성이 과학과 이 프로젝트의 장점을 덮어버렸다”고 비판했다.
키스톤 송유관은 하루 최대 83만 배럴의 원유를 캐나다 셰일유전에서 미국 정유공장으로 나르기 위해 계획됐다. 만일 완공됐다면 송유관은 2736km 길이에, 미국 6개 주를 가로질렀을 것이라고 WSJ는 전했다.
그러나 환경단체들은 키스톤을 화석연료에 대한 미국의 의존을 보여주는 전형적인 사례로 보고 강력히 반대했다. 반면 보수 진영에서는 환경론자들이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귀중한 프로젝트를 없애려 한다고 맞섰다.
오바마 대통령은 환경문제에 대한 대처를 2기 재임의 중심 과제로 삼고 있어서 송유관 프로젝트에 매우 회의적인 견해를 보여 왔다고 WSJ는 덧붙였다. 그는 “키스톤 문제가 너무 과도한 주목을 받았다”며 “송유관은 경제 특효약도 아니고 기후 재해를 가속화하는 급행선도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이 프로젝트가 유가 하락과 에너지 안보 강화 또는 미국 경제에 대한 장기적 기여로 이어지는 것은 없다”며 “의회가 일자리 창출을 심각하게 원하고 있다면 키스톤이 그 방법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