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나 리스크’ 공포가 세계 금융시장을 뒤덮고 있다.
증시 폭락과 경기 둔화, 기습적인 위안화 평가절하 등 한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위기가 복병처럼 끊임없이 등장하고 있다.
최근 국제통화기금( IMF)에 따르면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실질적으로 1%포인트 하락할 경우, 그 다음 해에 다른 아시아 국가의 성장률은 0.3%P포인트 하락한다. 특히 충격파가 큰 나라는 한국, 말레이시아, 대만, 태국 등이다. 일본과 인도는 상대적으로 영향이 작은 것으로 분석됐다.
일본 미즈호종합연구소는 중국발 악재의 충격파가 아시아 국가마다 차이가 나는 것은 가치기반의 무역(TIVA)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즉, 중국이 물건이나 서비스의 최종 수요처가 될수록 부가가치 기반의 수출처로서는 부담이 크다는 것.
한국의 경우가 대표적이다. 한국의 대중 수출액은 2011년 기준 652억 달러로 대미 수출(588억 달러)과 대유럽연합(EU) 수출(417억 달러)을 크게 웃돌고 있다. 한국은 현대자동차와 삼성전자 등 대기업을 중심으로 중국 시장에 대한 의존도를 높여왔다. 그러다보니 중국이 흔들리면서 한국 경제 역시 크게 요동치고 있다는 것.
대만도 마찬가지다. 대만도 부가가치 기반의 대중 수출액은 2011년 시점에서 451억 달러였다. 역시 대미 수출액(343억 달러)과 대EU 수출액(206억 달러)를 능가하고 있다.
아시아 국가의 GDP에서 차지하는 대중 수출 비중은 막대하다. 대만은 9.30%로 가장 높고, 다음이 말레이시아(8.36%), 한국(5.42%), 태국(5.15%), 베트남(5.13%) 순으로 5%가 넘으며 2009년 시점과 비교했을 때 각국의 대중 수출 금액도 GDP 대비 상승 기조다.
일본은 다른 아시아 국가보다 중국 의존도가 낮긴 하지만 근린국을 통한 이차적인 파급에 대한 경계의 목소리가 높다. 미국과 독일의 GDP 대비 대중 수출 비율은 각각 0.63%, 1.69%로 낮지만 일본과 마찬가지로 이차적인 여파의 영향권에서 비켜갈 수 없다는 지적이다. 특히 지난 11일부터 3일간 기습적인 위안화 평가절하가 이뤄질 경우 그 위험은 증폭된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여기다 중국은 폭스바겐과 제너럴모터스(GM) 같은 글로벌 자동차 업계의 최대 시장인만큼 중국의 경기 둔화가 핵심 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무시할 수 없다.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철도 부품, 의료 기기 등 특정 분야에서는 중국 시장에 깊숙이 파고들고 있는 것이 취약점인 셈이다.
또한 중국 경기 둔화로 국제 원자재 가격이 폭락하고 있는 점도 간과할 수 없다. 특히 국제유가(WTI 기준)가 한때 배럴당 41달러대로 6년 5개월 만의 최저치로 떨어지는 등 원유 가격이 다시 바닥을 향해 곤두박질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