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간 선거구제 개편 협상의제를 놓고 새정치민주연합 지도부 내에서 시각차가 드러나면서 향후 갈등이 전망되고 있다.
실제로 당 지도부는 그동안 혁신위원회가 제시한대로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에 초점을 맞추고 새누리당의 수용을 촉구해왔다.
하지만 전병헌 최고위원은 4일 "권역별 비례대표제가 지고지선은 아니다"며 다른 목소리를 내고 있는 양상이다.
전 최고위원은 자신의 블로글 글에서 새정치연합이 권역별 비례대표제 카드를 꺼낸 이후 의원수 확대에 초점을 맞춘 새누리당의 맹공을 받고 있다고 지적한 뒤 "우리 당 입장이 권역별 비례대표제로 지나치게 쏠리는 현상이 바람직하지 않고, 그리 돼서도 안된다"고 언급했다.
그는 "사표를 줄이고 지역 편중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석패율 제도가 권역별 비례대표제보다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제도"라며 권역별 비례대표제와 석패율제를 함께 논의할 것을 제안했다.
전 최고위원의 주장은 권역별 비례대표제에 당력을 집중해온 기조 변화의 필요성을 거론한 것이어서 논란의 소지가 있다.
실제로 새정치연합은 이날 오전만 해도 영남권 시도당위원장 5명이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새누리당의 권역별 비례대표제 수용을 촉구할 정도였다. 이 자리에는 김상곤 혁신위원장과 이종걸 원내대표까지 참석했다.
혁신위는 권역별 비례대표제 자체가 이미 석패율제를 포괄하고 있는 만큼 기조를 변경할 필요가 없다는 입장이다.
선거구제 개편을 둘러싼 기조 차이는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둘러싼 주류-비주류, 영남-비영남 간 이해득실이 반영된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각종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면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시 새정치연합의 영남권 의석이 큰 폭으로 증가하지만 수도권 의석수는 더 크게 줄기 때문에 비영남권에서 이를 순순히 받아들이기 어려운 면이 있다는 것이다.
결국 권역별 비례대표는 영남 기반이 강한 문재인 대표 체제를 공고히 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비영남권 의원들의 우려가 반영됐다고도 볼 수 있다.
또한 권역별 비례대표제가 도입되면 제3의 원내 정당 출현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호남권 신당론'과 맞물려 다당제 구도에 대한 지도부 간 입장차도 반영됐다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