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해양에너지 인프라 구축을 통해 2025년까지 신재생 에너지의 1.6%에 해당하는 약 840MW 규모의 전기를 해양에너지를 통해 공급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정부는 세계 해양플랜트 시장에 적극 진출해 2030년까지 20% 이상 점유율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해양수산부는 7일 열린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운영위원회에서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 해양에너지 강국 도약을 위한 해양에너지 중장기 계획을 보고했다.
이날 보고에서 해수부는 산업부와 함께 해양에너지 기술개발을 위한 지속적인 투자 확대와 제도 개선을 통해 2025년까지 세계 최고 수준의 해양에너지 기술력을 확보하고, 세계 해양에너지 플랜트 시장 선점을 적극 추진할 것임을 밝혔다.
세계 각국은 1992년에 체결된 ‘유엔 기후변화협약’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 노력으로 청정에너지인 해양에너지 개발에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2030년 세계 해양에너지 발전 플랜트 시장은 약 55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정부도 2018년까지 선진국 수준의 해양에너지 핵심기술을 확보하고, 2025년까지 현재 구축된 울돌목 시험조류발전소와 제주 시험파력발전소를 상업발전을 위한 대규모 실증단지로 조성할 계획이다.
또 해수온도차 발전도 키리바시 등 적도지역 국가에서의 실제 운영을 통해 산업화를 도모하고 풍력 등과의 융복합발전 기술 개발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정부는 이와 같이 해양에너지 인프라 구축을 통해 2025년에는 신재생 에너지의 1.6%에 해당하는 약 840MW 규모의 전기를 해양에너지를 통해 공급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세계 최고 수준의 국내 조선해양과 해양토목기술을 연계한 해양에너지 플랜트 개발을 통해 2030년 약 55조원 규모의 세계 해양플랜트 시장에 적극 진출하여 20% 이상 점유율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신재생에너지를 2020년까지 30%이상 의무적으로 공급해야하는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해양에너지 공급 확대를 추진하고, 민간기업의 투자를 유도하기 위한 공동 연구개발과 기술지원 프로그램을 추진하기로 했다.
김준석 해수부 해양산업정책관은 “해양에너지의 개발과 활용은 단순히 에너지 공급원의 확충 문제가 아니라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과 미래 신산업의 창출이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