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저축률은 기업의 총처분가능소득을 국민총처분가능소득으로 나눈 것을 말한다. 즉 기업이 현금화할 수 있는 돈이다. 기업이 돈을 많이 갖고 있다는 것은 기업의 순이익이 많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좋은 뜻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저축을 많이 할수록 다시 기업 투자에 쓰일 수 있기 때문에 경제성장에 도움도 된다.
그러나 경기가 위축되는 상황에서는 더는 저축이 미덕이 아닐 수도 있다. 소비를 줄이고 저축을 늘려 부를 축적하는 과정이 오히려 내수를 줄이고 경제활동을 떨어뜨려 경제 불황을 불러올 수 있기 때문이다. 케인스가 말한 저축의 역설이다. 문제는 우리 경제가 이 저축의 역설에 빠져 있다는 점이다.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4일 한 포럼에서 디플레이션(물가하락과 경기침체가 동시에 오는 것)에 대한 우려를 공개적으로 밝혔다. 그는 “지난 2월 물가는 담뱃값 인상분을 빼면 마이너스”라며 “저물가 상황이 오래 가서 디플레이션 우려 때문에 참 큰 걱정을 하고 있다”고 했다. 물가뿐 아니라 지난 1월 광공업 생산도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이처럼 경제 수장이 경기 침체를 공개적으로 인정하고 있지만 기업들은 투자와 임금을 늘리기보다 저축을 늘리고 있다. 국내 최대 기업인 삼성전자는 임금을 동결했고 다른 대기업들도 임금 인상에 주춤하고 있다.
적정 수준의 임금 인상과 투자가 일어나지 않고 기업 금고에 돈만 쌓아둔다면 경제는 살아날 수 없다. 정부는 기업이 투자와 임금 인상에 나설 수 있도록 더 과감한 정책을 펴야 하며 기업들도 적극적인 자세로 임해야 경제가 다시 살아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