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가 1일(현지시간) 일본의 신용등급은 ‘Aa3’에서 ‘A1’으로 한 단계 강등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이로써 일본의 신용등급은 한국 신용등급(Aa3)보다 낮아지게 됐다.
무디스는 일본정부가 재정 적자 감축 목표를 달성할 가능성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졌다는 점을 강등 배경으로 지목했다. 무디스는 또 일본 아베 신조 총리가 이끄는 경제정책 이른바 ‘아베노믹스’의 ‘세 번째 화살’로 불리는 성장전략의 타이밍과 효과에 대한 불확실성도 커졌다고 지적했다. 다만 등급 전망은 ‘안정적’으로 제시했다.
무디스가 일본의 신용등급을 강등한 것은 지난 2011년 8월 이후 3년 4개월 만이다.
일본은 최근 또다시 경기 침체에 빠졌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아베 총리는 지난 4월 1차 소비세율 인상(8%→10%)을 단행했다. 국내총생산(GDP)의 2배가 넘는 재정 적자를 해결하기 위한 선택이었다. 여기에는 첫 번째 화살인 양적완화 정책이 경기를 뒷받침해줄 것이란 아베 총리의 자신감도 있었다. 이에 아베 총리는 내년 10월 소비세를 2차 인상한다는 방침이었다.
그러나 아베 정권의 당초 예상과 달리 지난 3분기 일본 경제성장률이 2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 경기침체에 빠지게 됐다. 일본 경제가 다시 침체에 빠지자 아베 총리는 추가 소비세율 인상시기를 18개월 미루기로 했다. 이에 대해 아베 총리는 지난달 재신임 여부를 묻겠다며 중의원을 해산하고 오는 14일 조기총선을 치르기로 했다.
그러나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경기 침체로 일본정부가 2차 소비세율 인상을 연기함에 따라 재정 건전성 개선 전망이 불투명해져 무디스가 신용 등급을 강등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무디스가 일본은행(BOJ)이 지난 10월 31일 연간 본원통화를 80조엔 확대한다는 추가 양적완화 정책을 내놓은 상황에서 증세(소비세 인상)까지 미뤄지면서 일본 국채의 리스크가 커졌다고 판단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무디스는 물가상승률을 2%로 높이려는 BOJ의 노력에 대해서는 “결국 국채금리에 상승 압력을 가해 정부의 자금조달 비용을 높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이번 무디스의 신용등급 강등 결정은 오는 14일에 열리는 중의원 선거에서 여당에 악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해 다른 국제 신용평가사인 피치도 최근 일본 소비세율 인상 연기 결정과 관련해 일본의 신용등급을 연내에 재점검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