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선제적 시민 마음 관리로 2030년까지 자살률을 OECD 평균 수준까지 낮추겠다고 밝혔다.
28일 서울시는 21일 내놓은 ‘고립은둔종합대책-외로움 없는 서울’ 후속 1탄으로, 자살예방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그동안 자살시도자 등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집중 관리를 펼치던 방식에서 일상 속 시민들이 마음건강을 지속적으로 돌볼 수 있도록 정책 패러다임
자살사망자 대부분 사망 전 경고신호를 보였으나, 주변에서 이를 인지한 비율은 20%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와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은 최근 9년간(2015~2023) 자살사망자 1099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심리부검 면담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심리부검은 자살사망자 기록과 가족·지인의 진술을 검토해 자살사망자의 심리·행동 양상을 확인하고,
최근 보건복지부 발표에 의하면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자살사망자 수는 총 6375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1% 증가했다. 이는 2020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이며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자살률이다.
이와 같은 자살을 막기 위해 정부 기관과 민간 단체에서는 국민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캠페인과 자살예방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오래전 자살에 실
윤석열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는 26일 정신질환 경험자와 현장 근무자 등을 만나 이들을 격려하고, 정신질환에 대한 인식 개선을 강조했다.
김 여사는 이날 오전 서울 광진구 국립정신건강센터에서 정신질환 경험자, 자살 유가족, 정신건강 현장 근무자, 자살구조 경찰관 등 10여 명과 만나 이야기를 나눴다고 김수경 대통령실 대변인이 전했다. 이번 간담회는 작
평생 한 번이라도 자살을 생각해본 적 있는 비율이 최근 5년간 3.8%포인트(P) 하락했다.
보건복지부는 28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3년 자살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복지부는 2013년부터 5년 주기로 자살실태조사를 하고 있다.
실태조사는 ‘자살에 대한 국민인식조사’와 ‘의료기관 방문 자살시도자 통계’로 구성됐다. 국민인식조사는 지난해
보건복지부와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은 11월 30일과 12월 1일 양일간 ‘연대․협력을 통한 자살예방 활성화 전략’을 주제로 ‘2023 자살예방 콘퍼런스’를 개최한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전국 자살예방센터(정신건강복지센터), 생명사랑위기대응센터를 비롯한 다양한 민간 분야의 자살예방실무자와 전문가 등 약 300명이 참가한다.
자해·자살을 시도해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 중 10·20대 비중이 최근 10년간 큰 폭으로 확대됐다.
질병관리청은 8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2 손상유형 및 원인 통계’를 발표했다.
주요 내용을 보면, 지난해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에 참여한 23개 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손상환자는 총 19만3384명이었다. 이 중 3만788명이 입원했고,
지난해 자살사망자가 전년보다 3.3% 감소했다. 자살률은 2018년 이후 최소치를 기록했다. 정부는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에 따른 일상회복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분석했다.
통계청은 21일 발표한 ‘2022년 사망원인통계’에서 지난해 자살사망자가 1만2906명으로 전년보다 446명(3.3%) 감소했다고 밝혔다. 인구 10만 명당 자살사망률(자살률)은 25
청년 우울증 환자가 급격히 늘었다. 우울증 증가 원인으로는 ‘경제적인 문제’가 가장 크다는 지적이 나왔다.
6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17년에서 2021년 사이 우울증 환자는 68만 명에서 91만 명으로 34% 증가했다. 그중 2030 환자 수는 15만 9000명에서 31만 명으로 두 배 가까이 폭증했다.
4월 보건사회연구 학술지에 실린 ‘같지
대통령 직속 국민통합위원회 '자살 위기극복 특별위원회'는 28일 오전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자살 예방을 위한 우리 사회의 인식개선과 역할’이라는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최근 SNS 및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 등 새로운 플랫폼을 통한 자살 관련 정보의 급격한 증가에 대비해 국민통합위, 정부부처, 언론, 유관기관, 시민단체 등이 함께
정신건강검진 주기가 10년에서 2년으로 단축된다. 또 지역별 특성이 반영된 생명존중안심마을이 조성된다.
보건복지부는 1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제5차 자살예방정책위원회’에서 이 같은 내용의 ‘제5차 자살예방기본계획(2023~2027년)’이 확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계획은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 조성을 위한 법률(자살예방법)
정부가 건강보험 적용을 받는 급여 항목 중 남용이 의심되는 자기공명영상장치(MRI), 초음파 검사에 대해 급여 기준을 재검토하기로 했다. 의료서비스 과다 이용 시 본인 부담 차등방안을 검토하고, 외국인 피부양자 등 건강보험 자격요건도 강화한다.
보건복지부는 28일 열린 제3차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를 개최하고 이같은 내용을 담은 '건강보험 지속가능성 제
미국의 경제학자 해리 덴트가 2014년 발간한 ‘인구절벽’이라는 제목의 책이 2018년 국내에 소개된 이후, ‘절벽’이라는 용어는 한국사회에서 자주 등장하는 표현 중 하나가 되었다. 바닷가 혹은 높은 산 가장자리의 가파른 낭떠러지를 일컫는 이 용어는 경제불황, 사회적 고립 및 관계의 단절, 그리고 사회보장 사각지대의 심각성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표현으로 자리
서울 지하철 9호선 가양역 인근에서 실종된 김가을(23) 씨의 신변비관 글이 발견돼 극단적 선택에 무게가 실리는 가운데, 이수정 경기대 범죄심리학과 교수가 “일반적인 극단적 선택 상황이 아니다”라고 분석했다.
6일 이 교수는 YTN라디오 ‘슬기로운 라디오 생활’ 인터뷰에서 “가출 가능성도 존재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그런 상황이면 본거지로 다시 돌아오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 첫해인 2020년 국내 자살 사망자가 전년보다 604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20대 이하에선 자살 사망자와 사망률 모두 증가했다.
보건복지부와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은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2 자살예방백서’를 발간한다고 14일 밝혔다. 백서에 따르면, 2020년 국내 자살 사망자는 1만3195명
성인 4명 중 1명은 평생 한 번 이상 정신건강 문제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보건복지부는 26일 발표한 ‘2021년 정신건강실태조사’ 결과에서 정신장애 1년 유병률이 8.5%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정신장애 1년 유병률은 지난 1년간 알코올 사용 장애, 니코틴 사용 장애,
코로나19 사태 이후 임대아파트 단지 내에서 사라진 풍경이 하나 있다. 그것은 중장년 남성들이 삼삼오오 모여 술을 마시는 모습이다. 예전에는 여기저기 술판이 벌어지고 몸을 가눌 수 없을 정도로 취해 쓰러져 있거나 취객들 간 시비가 붙어 다투는 모습 등 주민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일들이 많았다. 그런데 요즘은 장기화된 코로나19 여파로 술판이 보이지 않는
자살 시도자 2명 중 1명은 과거에도 자살을 시도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은 도움을 얻으려고, 남성은 정말 죽으려고 자살을 시도했다는 응답이 많았다.
보건복지부와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은 19일 이 같은 내용의 ‘2020 응급실 기반 자살 시도자 사후관리사업’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해 응급실 사후관리사업 수행병원에 내원한 자살 시도자는 총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