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에 권력의 오만함 경고한 총선민주주의 후퇴·정치불신 되레 심화시대착오적 ‘선거 올인’행태 극복해야
이번 국회의원 선거는 선거 지상주의의 폐해를 재확인해 주었다. 선거 결과는 진영에 따라 희비를 극명히 엇갈리게 했으나 선거 과정은 모두를 패자로 전락시켰다. 선거에 모든 걸 걸고 수단을 가리지 않고 덤벼든 정당과 정치인들로 인해 그 과정은 참담했다. 출마
우리나라를 비롯해 전 세계가 인재 확보와 창의적 인재 양성에 앞다퉈 나서고 있다.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해 경제성장과 세계 기술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기 위해서다. 창의 인재 양성의 필요성은 비단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이미 1990년대 초 삼성의 이건희 회장은 ‘마누라와 자식 빼고 다 바꿔라’는 말로 변화를 이끌었다. 이와 함께 오늘날까지 회자되는 ‘2등은
경영자의 말 바꾸기가 회사 몰락의 시발점이 된 경우는 많다. 이로 인해 회사 구성원들의 삶은 무너지고, 희망을 잃는다. 책임을 다하지 않는 경영자들에게 기업가 정신은 찾을 수 없다. 최근 푸르밀 사업종료 논란 과정에서 노조와의 약속을 번복했던 경영진의 무책임함도 그 예다. 다행히 푸르밀 사태는 사업종료와 전직원 정리해고에서 매각 추진, 사업 유지로 일단락
필리프 아기옹은 경제성장론 분야에서 독보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경제학자이다. 그는 기업의 혁신이라는 미시적인 연구 주제를 국가 경제의 장기적인 성장 이슈로 연결하면서 경제학의 현실 설명력을 넓혔다. 그의 이론은 혁신의 아이콘인 조지프 슘페터의 이름을 빌려 슘페터식 패러다임 또는 슘페터식 성장 모형이라고 불린다. 그가 동료들과 함께 저술한 “창조적 파괴의
“베트남 기업이 만든 전기차를 미국에서 공개한다고?”
호기심이 생겼을 뿐, 큰 기대는 없었다. 베트남 자동차 제조사 빈패스트가 ‘CES 2022’에 참가한다는 소식을 듣고 떠오른 솔직한 생각이었다.
빈패스트의 발표 현장을 지켜보며 생각은 달라지기 시작했다. 레 티 투 투이 CEO가 무대에 올라 전기차 5종을 공개하자 현장에서는 환호성이 쏟아졌다. “2
세계은행은 최근 보고서에서 중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을 5.1%로 예상했다. 작년도 성장률이 8%, 개혁개방 이후 30년간 연평균 성장률이 대략 10%이니 상당한 정도의 하락이다. 그런데 앞으로 중국 경제는 아마 5% 성장률도 그리워할지 모르겠다.
개발도상국이 경제성장 초기에는 기세등등, 빠르게 성장하다 점차 성장동력이 사라지면서 선진국과의 거리가 다시 멀어
한국의 성장률은 2000년대 이후 추세적으로 낮아지고 있다. 역대 정부는 여러 성장정책을 썼지만 저성장세는 고착되고 있다. 저성장의 원인을 찾기 위해서는 먼저 성장이 주로 어떤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지를 점검할 필요가 있다. 경제성장은 자본, 노동 등 경제적 요인과 함께 정치와 문화 등 비경제적 요인까지 포함하여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에 관한
안녕하십니까, 한국은행 총재 이주열입니다.
세계경제연구원과 신한금융그룹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국제컨퍼런스에서 축하의 말씀을 드리게 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뜻깊은 행사를 위해 애써주신 세계경제연구원 전광우 이사장님과 신한금융그룹 조용병 회장님께 감사드립니다. 귀한 시간을 내어 컨퍼런스에 참석하신 모든 분들께도 인사말씀 드립니다. 특히, 기후변화 대응
이준석 바람에 정치권이 긴장하고 있다. 여당은 꼰대당으로 비칠까 전전긍긍한다. 야당은 겉으론 웃지만 속내는 복잡하다. 정치 변동성이 커졌다. 흥미진진한 드라마에 관전자인 국민은 즐겁다. 내년 대선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 ‘36세 0선’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 등장이 불러온 새바람이다.
이준석 현상은 ‘파괴적 혁신’과 ‘창조적 파괴’라는 경제학 이론으로
자본주의는 경쟁과 인센티브 두 축으로 작동한다는 명제에 크게 반론을 제기할 사람은 많지 않다. 경쟁은 중세 봉건시대 수공업, 기술 분야 독점체제인 길드를 해체함으로써 중상주의 확대를 가져왔고 자본주의와 민주주의라는 정치체제를 탄생시켰다. 사적 소유 개념으로서 인센티브는 중국, 베트남, 러시아 같은 과거 공산주의 국가에서도 당연히 받아들이는 생산과 성장의 중
☆ 조지프 슘페터 명언
“창조적 파괴, 즉 혁신은 자본주의뿐만 아니라 모든 경제발전의 원동력이다.”
미국 경제학자. 자신의 저서 ‘경기순환론’에서 혁신(innovation)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그는 혁신 기업가에 의한 경제과정 내의 변화와 경제체계의 반응을 경제발전이라고 새로이 정의했다. 오늘은 그가 태어난 날. 1883~1950.
☆ 고사성어
문재인 대통령은 19일 국민경제자문회의 부의장에 이근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장에 임혜숙 이화여자대학교 전자전기공학전공 교수를 내정했다.
이근 국민경제자문회의 신임 부의장은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로 재직하면서 왕성한 연구 활동과 후학 양성에 매진해 온 혁신경제 분야의 전문가다. 경제학계의 권위있는 상인 슘페터상을 수상하는 등 경제발
한국 경제 발전을 이끈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이 25일 영면(永眠)했다. 고(故) 이 회장은 삼성전자를 한국의 삼성에서 세계의 삼성으로 올려놨다는 평가를 받는다.
1987년 이 회장 취임 당시 10조 원이었던 삼성전자 매출액은 2018년 말 387조 원으로 약 39배 늘었으며, 이익은 2000억 원에서 72조 원으로 259배, 주식의 시가총액은 1조 원
◇ 경제발전의 이론/ 조지프 슘페터 지음/ 정선양 엮음/ 시대가치 펴냄/ 3만 원
슘페터는 1911년 7월 빈에서 책에 대해 1908년 같은 출판사에서 출판된 '이론적 국민경제학의 본질과 주요내용(Das Wesen und der Hauptinhalt der theoretischen Nationalkonomie)'이라는 제목의 책과 연결돼 있다고 설명
우리 경제가 힘들어 한다. 갈 길은 멀고 험한데 우리나라를 둘러싼 국내외 환경이 좋지 않다. 안으로는 문제를 풀어가야 할 정치가 오히려 검찰개혁논란으로 경제에 한 짐을 얹고 있다. 밖으로는 일본이 경제보복을 감행하고, 최대 수출국인 미국과 중국의 경제전쟁으로 경제 불확실성 또한 높다. 그래서 우리 경제가 넘어야 할 고개도 더 가파르다.
경제발전을
“경제적 풍요 만드는 주체는 기업…‘親기업’ 비판 알지만 이 길이 맞다”
“민부론의 핵심은 기업투자를 통한 혁신성장입니다. 바로 이 부분이 문재인 정부의 소득주도성장과 대척점에 있어요. 정부가 과감하게 나서서 투자혁신 분위기를 만들자는 점에서 ‘개입주의’에 해당할 수도 있다는 점이 고전적인 신자유주의와는 다릅니다.”
정태옥 자유한국당 의원은 1일
기업의 저력은 위기에서 드러난다. 국내외 기관에서 한국 경제의 암울한 지표를 내놓으며 2%대 중반의 성장률도 어렵다는 평가를 쏟아내고 있다.
기업들도 ‘도전’ 대신 ‘안정’에 나서는 모양새다. 그러나 소비자는 빠르게 변화한다. 기업이 도전과 혁신을 포기하면 소비자와의 괴리감은 커지게 마련이다.
오스트리아 경제학자 조지프 슘페터는 “자본주의는 ‘창
이제민 “재정확장 대통령 나서야”…이정동 “‘슘페터식’으로 혁신”
최저임금ㆍ근로시간 단축 등 속도조절 예상…김상조 힘 받을 듯
김현철 청와대 경제보좌관의 경질로 소득주도성장(소주성)을 주도했던 청와대 브레인들이 모두 퇴진했다. 이에 따라 J노믹스(문재인정부 경제정책)의 3대 축인 소주성, 혁신성장, 공정경제에서 소주성의 속도 조절은 불가피할 것으
이제민 국민경제자문회의 부의장은 30일 문재인 대통령과 가진 오찬에서 “우리 국민이 공공부문 확대에 대해 거부감이 크다”며 “공공부문 확대와 더불어 공공부문 개혁을 함께 가져가야 한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이 부의장과 이정동 경제과학특별보좌관과 오찬을 함께하며 우리 경제와 혁신 분야의 여러 현안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이 자리에서 이 부의장은
“이봐, 해보기나 했어?”
성공에 대한 집념과 포기를 모르는 열정을 이보다 더 잘 담아낸 질문이 또 있을까. 현대그룹을 일궈 낸 고(故) 아산 정주영 회장의 이 시그니처 질문은 한국의 기업가 정신을 대표한다. 열여섯 나이에 소 판 돈 70원을 들고 상경한 아산은 쌀을 팔고, 땅을 개간해 다리를 놓고, 그 위에 포니를 만들어 굴렸다. 성공 신화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