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파생상품에 투자하는 20세 이하 개인투자자들이 최근 3년간 거래 규모를 꾸준히 늘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금 출처에 대한 궁금증과 함께 해외파생상품이 초고위험상품에 속하는 만큼 사전교육 의무 이수 등 안전장치가 필요하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29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박재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투자자별 국내외 장내
은행 영업점에 가지 않고도 미성년 자녀의 주식계좌를 열수 있는 길이 열릴 것으로 보인다.
7일 금융규제민원포털에 따르면, 금융위는 ‘미성년자에 대한 비대면 계좌개설을 허용’ 안건을 은행과 ‘영업ㆍ영업업무규제’ 과제로 분류하면서 검토에 들어갔다.
현재 미성년자가 직접 증권 계좌를 개설하는 길은 막혀 있는 상태다. 부모가 자신의 신분증과 가족관계증명서 등
동학개미운동, 리틀개미라는 용어는 대한민국 사회에서 더 이상 신조어가 아니다. 역설적으로 코로나19는 사회적 차원에서 공동체의 위기를 초래했지만 경제적 차원에서는 급격한 주가 상승의 원동력이 되었다. 개인투자자는 코스피 지수가 1400선으로 추락하던 지난해 무려 47조 원의 투자금을 동원하며 코스피 지수를 3000선까지 끌어올렸다.
지금도 하루 평균 주식
죽은 땅보다 살아있는 기업에 투자하는 게 낫다
정운영 금융과행복네트워크(금행넷) 의장은 이투데이와 인터뷰에서 “주식은 일상 속 살아있는 경제교육이다. 아이들이 기업의 생산 활동에 관심을 두면서 시장 이해를 넓힐 수 있기 때문”이라며 “이제는 시대적 변화와 요구를 반영한 금융 교육으로 뒷받침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투자 필수 시대, 어릴수록 빛 보는
네 계좌에 책임질 줄 알아야 해
#. 덴마크 스코브룬데에 사는 미켈 스테어 씨(28)는 13살 때 주식투자를 처음으로 해봤다. 우리 나이로 13살은 덴마크에선 일을 시작하고 돈을 벌 수 있는 나이다. 그의 부모는 “네가 받은 용돈이나 아르바이트비 일부는 투자도 해보면서 잔고에 책임질 줄 알아야 한다”며 주식을 권유했다고 한다. 대신 투자하기 전, 한
공부의 힘은 ‘증권계좌’
#. ‘공부의 근원’을 묻는 질문에 한 여고생이 ‘증권계좌’라고 적은 스케치북을 들어 카메라에 보인다. 지난 9월, MBC 프로그램 ‘공부가 머니?’에 출연한 박민영 학생의 이야기다. 쏠쏠한 수익에 살아있는 경제 공부는 덤이다. 시장 매력을 느끼면서 경영·경제 분야로 진학하는 목표도 생겼다고 했다.
#. 지난해 4월, 폭락장에
서울에 사는 직장맘 이모(41)씨는 최근 초등학교 5학년인 딸에게 50만 원을 주고 주식투자를 시켰다. 신문 경제면을 틈나는 대로 읽게 하는 한편, 증권사 모바일 트레이딩 시스템(MTS)교육을 한 뒤 스마트폰으로 직접 주식투자를 하게 한 것. 이 씨는 “아파트는 못 물려 주지만 주식을 통해 흙수저에서는 벗어나게 하고 싶다”고 말했다. 교복을 입은 미성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