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당권주자들이 전당대회 출마를 선언하며 이들이 제시하는 당정 관계에도 관심이 쏠렸다. 23일 연달아 당대표 출마 선언에 나선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과 나경원 의원, 그리고 원희룡 전 국토부장관, 먼저 출마를 선언한 윤상현 의원 등은 모두 정부와의 협력을 강조했다. 그러나 민심 20%를 위한 ‘균형’과 ‘견제’를 놓지 않았다.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는 한 전 위원장과 나 의원, 원 전 장관의 당대표 출마 선언 기자회견이 1시간 간격으로 이어졌다. 7‧23 전당대회는 4‧10 총선 참패 후 첫 전당대회로 주요 후보들 모두 당정관계의 방향성과 당 체질 개선 등에 대한 방법을 언급했다. ‘정부의 성공’, ‘대통령의 신뢰’ 등 정부와의 긴밀한 협력이 강조됐으나, 중도층을 고려한 균형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세 사람 중 가장 먼저 회견에 나선 나 의원은 계파도, 앙금도 없는 자유로운 후보임을 내세우면서도 “윤석열 정부를 성공시킬 수 있는 적임자”임을 강조했다. 그는 “조건 없이 힘과 마음을 합쳐 어려움을 극복하고, 부족함과 실수가 있다면 과감히 고쳐나가는, ‘당정동행’으로 밀어주고 끌어주며 같이 가겠다”고 말했다.
다만 나 의원은 “판단의 절대 기준은 오직 민심”이라며 ‘친윤’, ‘비윤’ 등 계파에 대해서도 “‘(대통령과) 통화했다’부터 시작해 당대표 선거에 대통령을 끌어들이는 선거는 당정동행 보단 당정일체가 되거나 지나친 당정 갈등 걱정을 완화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쓰이게 되는 거”이라며 “계파 얘기는 넘어서야 한다”고 비판했다.
한 전 위원장도 “집권여당은 대통령실, 정부와 서로 존중하고 긴밀하게 소통, 협력하면서 일해야 한다”면서도 ‘수평적 당정 관계’를 강조했다. 한 전 위원장은 총선을 거치며 윤 대통령과의 관계가 악화돼 비윤 주자로 분류되기도 했다.
그는 “당이 정부의 정책 방향 혹은 정무적인 결정에 대해 합리적인 비판이나 수정 제안을 해야 할 때, 그럴 엄두조차 못내는 상황들이 반복됐다”며 “어느 한쪽이 이끄는 대로 무조건 따르는 것이 아니라, 상호 존중 속에서 치열한 토론을 통해 해법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기준은 오로지 ‘민심’과 ‘국민의 눈높이’”라고 했다.
그러나 한 전 위원장 역시 19일 윤 대통령과 통화하며 출마 결심을 전했다고 밝히는 등 윤 대통령과의 당대표 출마 관련 소통 사실을 가장 먼저 공개하며 윤 대통령과의 관계 개선 행보를 보이고 있다.
‘윤심(尹心)’이 향하는 후보로 급부상한 원 전 장관은 “신뢰가 있어야 당정관계를 바로세울 수 있다. 저는 대통령과 신뢰가 있다”고 강조했다. 원 전 장관은 직접 윤 대통령을 만나 출마의 변을 신고했다고 밝혔다.
그는 “대통령선거 캠프 등에 있으면서 당정 간 대통령과 결이 다르거나, 대통령이 동의하지 않은 사안으로 숱하게 토론한 경험이 있다”며 “당대표가 된다면 대통령과 그간 논의했던 경험, 과정에 비춰 갈등을 해결할 수 있다”고 자신했다.
다만 원 전 장관 역시 “당심과 민심을 대통령께 가감없이 전달하겠다”며 “이를 위해 ‘레드팀’을 만들어 레드팀에서 취합한 생생한 민심을 직접 대통령께 전달하고, 그 결과를 국민께 보고드리겠다”고도 했다.
윤 의원은 앞서 SNS를 통해 “이번 당 대표는 민주당과 싸워 이긴 사람이 맡아야 하고, 민심이 윤심이 되도록 대통령에게 할 말 하는 대표가 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당 대표는 대통령과 깊은 신뢰가 있어, 민심과 당심을 오해 없이 전달할 수 있어야 하고, 우리 당에서 쭉 성장해 승리의 기쁨과 패배의 아픔을 당원들과 함께 겪은 분이 맡아야 한다”며 총선 직전 합류해 대통령과 갈등을 빚은 한동훈 전 비대위원장을 겨냥하기도 했다.
‘당원투표 80%·일반국민 여론조사 20%’라는 전당대회 룰에 따라 20%의 민심을 겨냥한 출사표로 해석된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 교수는 “할 말은 하면서 당정 간 협의를 하는 게 건강한, 고전적인 당정 관계 아니겠나”라며 “여론 반응성이 낮은 상황에서 여론을 쫓는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면 정당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하기 힘들 것”이라고 지적했다.
대통령실은 국민의힘 전당대회 개입에는 선을 긋고 있다. 어떤 후보가 되더라도 똑같이 대우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4‧10 총선 이후 대통령실은 국회와 관련해서말을 아끼는 분위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