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은행에 17조원 ‘반도체 금융지원 프로그램’ 신설”
“중소‧중견기업 위한 ‘반도체 생태계 펀드’ 조성”
“회의 수시로 열어 경제 이슈 직접 챙길 것”
정부가 26조 원 규모의 ‘반도체 산업 종합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약 17조 원의 ‘반도체 금융지원 프로그램’을 신설해 대규모 설비투자를 지원하고 투자세액공제를 연장, 1조 원 규모의 ‘반도체 생태계 펀드’ 조성으로 팹리스(반도체 설계)와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 지원에도 속도를 낼 방침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23일 오전 용산 대통령실에서 반도체 산업을 주제로 ‘제2차 경제이슈점검회의’를 주재했다. 이날 회의는 9일 거시경제‧금융시장 현안을 주제로 열린 1차 회의에 이어 반도체 산업 종합지원 프로그램과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관련 현안, 시스템 반도체 산업 육성 방안 등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윤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 “반도체는 국가 총력전이 전개되는 분야”라며 “26조 원 규모의 반도체 산업 종합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이어 “반도체 산업이야말로 민생을 더 풍요롭게 만들고 경제를 도약시키는 가장 중요하고 확실한 토대”라며 “경쟁국에 뒤지지 않는 반도체 지원을 펼쳐서 국가가 확실하게 뒷받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우선 17조 원 규모의 반도체 금융지원 프로그램을 신설하고 투자세액공제도 연장할 계획이다. 산업은행에 반도체 금융지원 프로그램 신설해 대규모 설비투자를 지원해 반도체 기업의 유동성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는 취지다. 올해 일몰 예정인 투자세액 공제도 연장해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투자에 차질이 없도록 하겠다는 방침이다.
윤 대통령은 “시간이 곧 보조금이라고 할 수 있을 만큼 문제 해결 속도가 가장 중요하다”며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에 차질이 없도록 전기, 용수, 도로 등의 인프라를 정부와 공공부문이 책임지고 빠른 속도로 조성해 나가겠다”고 약속했다. 안정적인 전기 공급을 강조하며 송전 선로 건설 기간을 대폭 단축하는 국가전력망 특별법 등에 대한 국회 협조도 당부했다.
아울러 1조 원 규모의 반도체 생태계 펀드를 조성해 팹리스와 소부장을 비롯한 반도체 중소‧중견기업에 대한 특별 지원을 강화해 글로벌 기업화를 촉진할 예정이다. 윤 대통령은 “반도체 생태계 펀드로 유망 팹리스와 소부장 기업들이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미니팹 등 기업이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연구 인프라도 신속하게 확충하겠다”고 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최상목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이 반도체 생태계 지원 방안, 안덕근 산업부 장관이 반도체 산업 주요 현안을 각각 발표했다.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은 용인 국가산단과 관련해 계획 수립과 보상을 동시에 추진해 착공까지 통상 7년까지 걸리는 기간을 절반으로 단축하겠다고 했다.
윤 대통령도 “반도체 산업은 시간이 곧 보조금인데 산단 착공까지의 기간을 절반으로 단축해 기업을 지원한다는 설명이 알기 쉽고 설득력 있게 들린다”며 “추후 정책 발표 때 국민 눈높이에 맞춰 알기 쉽게 설명해 달라”고 참석자들에게 당부했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계약정원제’와 ‘모아팹’을 통해 각각 인재 육성과 반도체 전공자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했다. 계약정원제는 산업체가 채용을 조건으로 맞춤교육을 의뢰하면 대학 학과 정원을 한시적으로 증원해 운영할 수 있는 제도다. 모아팹은 기존 각 기관에서 운영한 시제품 제작 장비와 시설을 국가가 한군데서 제공한다.
윤 대통령은 마무리 발언에서 반도체 투자세액공제에 관해 “일각에서는 마치 약자 복지비용을 빼앗아 대기업을 지원한다고 주장하는데 전혀 아니다”며 “세액공제로 기업 수익이 증가하고 일자리가 늘어나 세수가 더 크게 늘면 더 두터운 복지를 할 수 있다”고 거듭 목소리를 높였다.
이날 회의에는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김주현 금융위원장과 대통령실에서는 성태윤 정책실장, 박춘섭 경제수석, 박상욱 과학기술수석, 왕윤종 안보실 3차장 등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