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금융연구원은 ‘2024 수정 경제전망’을 통해 “고금리와 고물가의 영향으로 민간소비 회복이 완만하고 건설투자가 부진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반도체 위주로 수출 실적이 크게 개선되고 관련 설비투자가 증가함에 따라 실질 국내총생산(GDP) 회복세가 나타날 전망”이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세부적으로 민간소비 증가율은 1.7%로 전망했다. 1분기 중 민간소비는 전기대비 0.8% 증가해 양호한 성장률을 기록했다고 평가했다. 다만, 고물가, 고금리의 장기화로 인해 소비여력이 제약되며 민간소비는 연중 완만한 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봤다.
설비투자 증가율은 3.7%로 예상했다. 메모리 반도체 수요 반등 및 고대역폭 메모리 중심 생산설비 확충 수요로 반도체 관련 설비투자가 반등하면서 설비투자 증가를 주도할 것으로 분석했다.
건설투자 증가율은 -2.4%로 전망했다. 2022년 중 △급격한 금리인상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화 △역전세 문제 △주택시장 조정 등의 요인으로 수주, 허가, 착공 등 건설투자의 주요 선행지표가 2022년 중반부터 2023년 동안 지속 악화된 것을 역성장 이유로 꼽았다.
금융연은 “예정된 공사의 진행정도 등은 일부 변동이 있을 수 있지만, 선행지표의 부정적 흐름이 실적치에 본격적으로 반영돼 올해 건설투자는 상당폭 역성장할 것으로 전망한다”면서 “정부의 사회간접자본(SOC) 투자 집행상황 점검 및 독려 등은 민간부문의 부진을 다소 완화할 수 있겠지만, 전체 건설투자에 대한 영향은 다소 제한적일 것”이라고 판단했다.
총수출 및 총수입 증가율은 각각 5.3%, 3.7%를 기록할 것으로 봤다. 총수출은 세계교역이 완만히 회복하는 가운데 반도체 수출이 크게 개선됨에 따라 5.3%의 증가율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어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상반기 2.9%, 하반기 2.4%로 연간으로는 2.7%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금융연은 “소비자물가는 내수회복이 미약하고, 고금리 부담이 지속됨에 따라 수요 위축 등으로 점진적인 하락세를 보이겠으나 지정학적 위험으로 인한 원자재 가격 불확실성, 강달러화 지속 등 공급 측 요인에 주로 기인해 물가목표를 상당폭 상회하는 수준에서 유지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국고채 3년물의 연평균 금리는 3.4%로 전년대비 소폭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다. 미국 근원 소비자물가짓수 안정 확인시까지 당분간 3% 중반대의 금리 수준이 유지될 것으로 보이지만, 하반기 이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ㆍ연준)의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가 강화됨에 따라 국내금리도 하향 안정화될 것으로 분석했다.
올해 경상수지 흑자 규모는 576억 달러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연평균 원ㆍ달러 환율은 전년보다 상승한 1355원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최근 전반적인 거시경제 흐름을 고려할 때, 현재의 정책기조를 유지하면서 경제체질을 개선하고 성장잠재력을 높일 수 있는 거시경제 환경 조성에 노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금융연은 “올해 중 수출 증가에 따라 2.5%의 성장이 예상되는 가운데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목표수준에 비해 높게 유지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하면 거시경제를 안정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면서 “이러한 상황에서 확장적인 거시경제정책은 총수요압력을 높여 물가를 자극하고 비생산적인 자원배분을 초래할 위험이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재정정책은 현재의 건전재정 기조를 유지하되 예정된 예산집행을 차질 없이 추진하고 통화정책은 미국 기준금리 및 국제유가 추이를 고려하면서 물가안정목표의 달성이 확실해질 때까지 현재의 기준금리 수준을 유지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