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 너도?” 우후죽순 최고급 작명에…희소성 ‘뚝’·갈등은 ‘쑥’ [하이엔드 아파트 전성시대②]

입력 2024-04-29 05:00 수정 2024-04-29 08:0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본 기사는 (2024-04-28 18:00)에 Channel5를 통해 소개 되었습니다.

건설업계가 아파트 하이엔드 브랜드 확산에도 웃지 못하고 있다. 아파트 브랜드 고급화 바람이 수년째 거세게 불면서 각 사 최고급 브랜드가 빠르게 늘고 있지만, 반대급부로 희소성이 떨어지면서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다. 정비사업 조합들은 서울 강남지역에만 적용하던 하이엔드 브랜드를 선택할 수 있게 됐지만, 이에 따른 공사비 상승과 내부 갈등으로 공사가 지연되는 등 내홍을 겪는 사례도 되풀이되고 있다.

28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서울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 이외 지역에 적용된 각 건설사 하이엔드 브랜드는 주로 부산과 광주 등 지방 광역시와 서울 비강남권 대규모 정비사업장에 집중적으로 적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건설사의 서울 강남지역 이외 하이엔드 브랜드 적용 현황 분석 결과, 현대건설 하이엔드 브랜드 ‘디에이치’는 부산 우동3구역과 광주 광천동재개발 사업 등을 수주했다. DL이앤씨 ‘아크로’는 부산 촉진3구역과 중동5구역, 광주에선 신가동재개발 사업을 수주하면서 하이엔드 브랜드 적용을 약속했다.

또 대우건설은 서울 비강남권 정비사업 중 핵심지로 꼽히는 흑석11구역과 노량진5구역 수주에 하이엔드 브랜드 ‘써밋’을 적용해 사업을 따냈다. SK에코플랜트 ‘드파인’ 역시 부산에서 반여1-2구역과 광안2구역 등에 드파인 브랜드를 약속했다. 다만, 롯데건설 하이엔드 브랜드 ‘르엘’은 서울 강남 3구와 용산구(르엘이촌)에서만 적용한 것으로 파악됐다.

원래 하이엔드 브랜드는 대형 건설사 고급화 전략의 하나로, 서울 안에서도 강남지역과 한강변 핵심지 공략을 목적으로 만든 것이다. 사업성이 높은 곳에서 평당 분양가를 높여 잡고, 그 대신 고급 아파트를 짓는 등 엄격한 기준을 적용해 초창기 서울 핵심지 정비사업 조합으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브랜드 적용 기준을 확대해 강남권을 벗어난 곳에도 적용하면서 희소성이 퇴색하고 있다는 지적이 잇따른다.

여기에 하이엔드 브랜드는 원래 취지대로 고급 아파트를 짓는 만큼 공사비용도 더 비싸다. 건설업계는 “하이엔드 건설비용은 일반 브랜드 대비 같은 단위면적 당 20~30%가량 더 비싼 수준”이라고 입을 모았다.

문제는 최근 수년간 건설 원가가 급등하면서 기본 공사비가 크게 오르자, 조합과 건설사간 하이엔드 시공 공사비용을 놓고 이견을 보이는 경우가 늘고 있다는 점이다. 조합이 하이엔드를 원해도 공사비용이 많이 올라 아예 포기하거나, 시공단과 공사비를 협의하지 못해 시공계약을 해지하는 등 파열음이 계속되고 있다.

실제로 알짜 단지로 평가받는 서울 핵심지 정비사업장도 공사비용 문제로 시공사 선정에 애를 먹고 있다. 용산 산호아파트 재건축 조합은 지난 15일 하이엔드 브랜드 적용 조건으로 평(약 3.3㎡)당 830만 원에 시공사 입찰을 진행했지만, 건설사는 단 한 곳도 참여하지 않았다. 한강변 핵심지로 사업성이 높은 곳이지만, 하이엔드 브랜드를 적용하면 수익성이 없다고 판단한 것이다.

한 재건축 조합 관계자는 “대형 건설사 하이엔드를 적용하고 싶어서 공사비를 문의했더니 평당 1000만 원까지 오를 수 있다고 해서 바로 포기하고 일반 브랜드를 알아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 밖에 하이엔드 브랜드 채택을 두고 비강남권 조합들이 내홍을 겪으면서 분양 일정이 지연되는 경우도 발생한 바 있다. 대표적으로 지난 2022년 노량진뉴타운 일대 조합들은 건설사 하이엔드 브랜드 채택을 위해 기존 시공사를 선정한 곳에서도 조합 집행부 해임 총회를 여는 등 진통을 겪었다.

전문가는 하이엔드 브랜드 보급 확대와 공사비 갈등이 계속되면 브랜드 가치 하락과 함께 하이엔드 아파트의 질적 하락도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시공사와 조합이 하이엔드를 짓기로 합의하더라도, 최근 급등한 공사비용을 맞추지 못한다면 껍데기만 하이엔드인 아파트가 나올 수 있다”며 “조합과 시공사 모두 단지의 사업성과 조합의 공사비 분담 여력 등을 고려해 브랜드를 결정해야 하고, 장기적으로 네이밍을 떠나 입지와 아파트 실제 품질이 강조되는 시장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20년 째 공회전' 허울 뿐인 아시아 금융허브의 꿈 [외국 금융사 脫코리아]
  • 단독 "한 번 뗄 때마다 수 백만원 수령 가능" 가짜 용종 보험사기 기승
  • 8만 달러 터치한 비트코인, 연내 '10만 달러'도 넘보나 [Bit코인]
  • '11월 11일 빼빼로데이', 빼빼로 과자 선물 유래는?
  • 환자복도 없던 우즈베크에 ‘한국식 병원’ 우뚝…“사람 살리는 병원” [르포]
  • 100일 넘긴 배달앱 수수료 합의, 오늘이 최대 분수령
  • '누누티비'ㆍ'티비위키'ㆍ'오케이툰' 운영자 검거 성공
  • 수능 D-3 문답지 배부 시작...전국 85개 시험지구로
  • 오늘의 상승종목

  • 11.11 11:37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3,655,000
    • +5.96%
    • 이더리움
    • 4,477,000
    • +2.68%
    • 비트코인 캐시
    • 628,000
    • +12.65%
    • 리플
    • 835
    • +5.43%
    • 솔라나
    • 295,000
    • +5.39%
    • 에이다
    • 842
    • +16.62%
    • 이오스
    • 814
    • +18.66%
    • 트론
    • 230
    • +2.22%
    • 스텔라루멘
    • 154
    • +7.69%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850
    • +13.68%
    • 체인링크
    • 20,300
    • +4.42%
    • 샌드박스
    • 421
    • +10.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