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항셍중국기업지수(H지수) 기초 주식연계증권(ELS) 손실 여파로 올해 1분기 금융지주사들의 성적표가 크게 엇갈릴 것으로 전망된다. 리딩지주사 타이틀을 가지고 있는 KB금융의 경우 H지수 ELS 를 가장 많이 판매한 만큼 배상액도 1조 원이 넘어설 것으로 추정되면서 순위 유지에 적신호가 켜졌다. 순위다툼을 치열하게 벌여왔던 신한금융이 1위를 탈환이 가능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16일 나민욱 교보증권 연구원은 “ELS 판매 주요 은행들이 자율조정 절차에 돌입하면서 관련 손실은 1분기 중 대부분 반영할 것”이라며 “평균 배상 비율 30~40% 수준을 적용시 KB금융 약 9000억 원, 신한지주 약 3000억 원, 하나금융 2000억 원, 우리금융 80억 원 규모를 예상한다”고 말했다.
교보증권은 KB·신한·하나·우리·BNK·DGB금융 및 카카오뱅크·기업은행의 합산 당기순이익을 5조 원으로 추정했다. 이는 전년동기 20.9%감소한 수치다. 나 연구원은 “ELS 익스포져를 보유한 은행 중심으로 컨센서스를 대부분 하회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교보증권에 따르면 대손 충당금 전입 규모는 2조5000억 원으로 대규모 추가충당금 기저 효과로 전 분기 대비 -46.7% 감소하나 연체율 상승에 따른 경상 충당금전입 규모는 확대 추세다.
메리츠증권의 같은 기간 이들 은행의 당기순이익추정치는 5조630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동기 대비 19.78% 줄어든 규모다.
KB금융의 1분기 당기순이익은 8901억원으로 전년 대비 40.6% 감소할 것으로 추정했다. 이는 전체 은행 중 가장 순익 감소가 큰 것이다. 메리츠증권은 홍콩 ELS 자율배상으로 인한 일회성 비용 영향으로 진단했다.
메리츠증권은 기본 배상비율을 40%로 가정할 때 국민은행의 배상액은 최대 1조1200억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국민·하나·신한·우리은행 등 4대 은행 전체 배상 규모 2조 원 중 절반을 넘는다. 신한은행의 배상 규모는 3500억 원, 하나은행은 2000억 원, 우리은행은 약 100억 원으로 예측했다.
이 기간 신한금융의 순이익 추정치는 1조1881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 보다 14.4% 줄어든 규모하지만, KB금융보다 2910억 원 앞서는 수치다. 1위 탈환을 내다볼 수 있다는 얘기다.
하나금융과 우리금융의 순이익은 각각 전년대비 25.1%, 12.7% 감소한 8211억 원, 7979억 원으로 추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