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내수시장을 중심으로 급격히 성장해온 BYD가 글로벌 시장 진출을 확대하는 가운데, BYD의 성장 전략 유효성이 향후 2~3년 이내에 검증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한국자동차연구원은 24일 ‘BYD 글로벌 확장 전략의 명과 암’ 보고서를 통해 “주요 완성차 기업의 로드맵을 고려하면 향후 2~3년 내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서 BYD와 타사 간 직접 경쟁이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그 결과에 따라 BYD의 성장 전략도 달라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BYD의 연간 전기차 판매 대수는 288만1000대로, 전년 대비 58.5% 증가했다. 특히 중국 내수 판매 비중이 96.1%(277만 대)에 달했으며, 시장 점유율 11%로 중국 내 판매량 1위를 차지했다.
BYD는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서 ‘Atto 3(C 세그먼트)’, ‘돌핀(B 세그먼트)’ 등 C 세그먼트 이하의 볼륨 모델을 낮은 가격으로 판매하며 해외 시장에 침투하는 전략을 구사해왔다. 자체 부품 조달, 중국 내 생산을 통한 조립비용 최소화 등 가격 경쟁력을 높였다는 평가다.
최근에는 시장, 브랜드 다양화 등으로 글로벌 시장 지배를 위한 기반을 확보하고 있다. 올해 태국에서 첫 현지 생산을 시작할 예정이며, 브라질, 헝가리, 멕시코 등에서도 생산시설 확보를 추진하고 있다. 또한 고가·초고가 서브 브랜드와 SUV 전문 전기차 브랜드를 육성할 방침이다.
이호중 한국자동차연구원 책임연구원은 “구조적인 코스트(가격) 우위, 중국 내수 1위 완성차 기업 지위와 자금력을 바탕으로 한 투자 여력, 우수한 포트폴리오 등의 요소는 BYD가 기존 전략을 지속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불확실한 대외 여건 속 브랜드 한계 역시 부각된다고 지적했다. 미국, 유럽연합(EU) 등이 중국산 배터리나 핵심 광물 등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있어 BYD의 경쟁력이 희석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국가별로 다른 근로 조건, 조직 문화로 인한 경영 리스크와 차별화된 브랜드 이미지가 없다는 점이 한계 요소로 꼽혔다.
이 책임연구원은 “BYD가 목표로 하는 해외 진출 확대 및 고급화 전략, 테슬라를 비롯한 완성차 기업의 코스트 절감 및 보급형 모델을 통한 시장 확대가 본격화하면 동일 시장·세그먼트에서의 경쟁 격화가 불가피하다”면서 “BYD는 판매량 측면에서는 수년 내 메이저 완성차 그룹의 하나가 될 것으로 전망되나, 장기적으로도 업계의 판도를 좌우할만한 위상을 획득할지는 불확실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