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이 든 사과였나 [노트북 너머]

입력 2024-03-24 09:42 수정 2024-03-24 10:4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독이 든 사과"

최근 인터넷에서 돌고 있는 애플에 대한 비아냥적인 표현이다. 백설공주 이야기에 나오는 마녀의 독 사과에 비유한 것. 애플의 경쟁력이었던 '폐쇄적인 생태계'가 '독'이 됐다는 이유에서다.

최근 미국 법무부는 16개 주(州) 법무장관과 공동으로 21일(현지시간) 애플을 상대로 반독점법 위반 소송을 냈다. 이번 소송은 아이폰뿐 아니라 노트북, 태블릿, 스마트워치 등 자체 기기를 통해 구축해 온 '애플의 닫힌 생태계'를 정조준했다. 애플은 자신이 태어난 미국 땅에서 고립될 위기에 놓인 셈이다.

메릭 갈런드 미 법무장관은 "애플은 우수성 때문이 아니라 불법적이고 배타적인 행동으로 권력을 유지했다"며 "자사 제품을 더 좋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다른 제품을 더 나쁘게 만들어 독점력을 강화했다"고 비판했다.

미 국무부는 애플이 아이폰 소프트웨어 통제권을 강화해 경쟁사가 혁신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차단했다고 주장했다. 또한, 앱스토어에서 자체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자체 결제 서비스만 제공하고 타사 메시징 앱과 디지털 지갑,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등의 이용도 막았다고 보고 있다.

주장은 예상보다 치밀했다. 한 해 순수익만 100조 원을 넘기는 기업인 만큼 정교하면서도 합리적인 근거가 필요했을 것으로 보인다. 자료 조사에만 5년 간의 시간을 들였다고 한다.

실제 애플은 바이러스·사기 등으로부터 안전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이유로 폐쇄적인 앱스토어 운영 전략을 펴왔다. 이에 타사와의 앱 호환을 막아 안드로이드와 같은 애플 운영체제(OS)가 아닌 다른 기기로의 전환을 어렵게 만들었다는 점이 집중적으로 지적됐다. '록인(lock-in) 효과'를 강제해 소비자 이용료 상승으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유저들은 이런 생태계로 외부 장치를 이용하거나 경쟁사의 생태계로 이동하기가 쉽지 않았다. 그러다 보니 다른 경쟁사로 옮기려면 높은 비용을 들여야만 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사실 애플의 폐쇄적인 생태계는 경쟁력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차별성으로만 갔어야 할 것이 남을 배외하는 '배타주의'식 행태가 독이 된 것이다. 다른 기업과 미국 정부의 분노를 살 만하다는 비난이 쏟아진다. 결국, 한때 최고 성공 요인으로 꼽혔던 특유의 폐쇄적인 생태계가 골칫거리로 전락한 모습이다. 돌팔매질에 애플의 이미지 실추도 불가피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20년 째 공회전' 허울 뿐인 아시아 금융허브의 꿈 [외국 금융사 脫코리아]
  • 단독 "한 번 뗄 때마다 수 백만원 수령 가능" 가짜 용종 보험사기 기승
  • 8만 달러 터치한 비트코인, 연내 '10만 달러'도 넘보나 [Bit코인]
  • '11월 11일 빼빼로데이', 빼빼로 과자 선물 유래는?
  • 환자복도 없던 우즈베크에 ‘한국식 병원’ 우뚝…“사람 살리는 병원” [르포]
  • 100일 넘긴 배달앱 수수료 합의, 오늘이 최대 분수령
  • '누누티비'ㆍ'티비위키'ㆍ'오케이툰' 운영자 검거 성공
  • 수능 D-3 문답지 배부 시작...전국 85개 시험지구로
  • 오늘의 상승종목

  • 11.11 12:18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3,526,000
    • +5.68%
    • 이더리움
    • 4,460,000
    • +2.25%
    • 비트코인 캐시
    • 618,500
    • +3.6%
    • 리플
    • 829
    • +4.67%
    • 솔라나
    • 293,300
    • +4.23%
    • 에이다
    • 828
    • +13.27%
    • 이오스
    • 813
    • +16.98%
    • 트론
    • 232
    • +3.11%
    • 스텔라루멘
    • 154
    • +6.21%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700
    • +8.07%
    • 체인링크
    • 20,170
    • +3.44%
    • 샌드박스
    • 423
    • +10.4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