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ㆍ중 패권경쟁 속 ‘진영논리’ 확산

입력 2024-03-09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中과 '해빙 분위기' 호주, 아세안과 맞손
영유권 분쟁국 '베트남ㆍ필리핀' 등 협력
G2 양국 글로벌 외교 네트워크 두고 경쟁
中은 아프리카, 美는 동아시아 관계 강화

글로벌 주요 국가 사이에 '진영 논리'가 확산 중이다. 역사와 이념ㆍ지리적으로 구분됐던 나라들이 스스로 이익을 위해 집단을 이루기 시작한 것. 때로는 반대 진영과 손을 잡고, 때로는 주변국 견제를 위한 외교 네트워크 확대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 4일 블룸버그통신은 “미얀마와 호주가 수교 50주년을 기념해 정상회담에 나선다”며 “이번 정상회담은 중국을 겨냥하기 위해 남아시아 주요국과의 관계를 강화하기 위한 목적”이라고 보도했다.

앞서 호주는 미국의 대중(對中) 무역 제재에 동참하면서 중국과의 관계가 틀어졌다. 2018년 미국의 요청으로 중국 화웨이에 불이익을 가한 게 출발점이었다. 이후 양국은 수출입 금지와 관세 폭탄 등을 주고받으며 갈등을 키웠다.

결국, 지난해 11월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가 중국을 방문 “양국 간 우호적인 관계가 모두에게 이익”이라는 견해를 밝히며 해빙 분위기를 조성했다. 중국도 조심스럽게 한발 앞으로 나갔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왕이 중국공산당 정치국 위원 겸 외교부장이 3월 말 호주를 방문, 양국 간 민감한 현안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해빙 분위기가 조성되는 반면, 여전히 국제무대에서 두 나라의 외교전은 치열하다.

블룸버그통신은 “호주는 아시아 지역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주요 국가와 관계 개선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고 보도했다.

실제로 앨버니지 총리는 중국과 갈등이 절정에 달하기 시작하던 지난해 초 베트남을 방문, 양국 우호를 다졌다. 멜버른에서는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필리핀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열었다. 페르디난드 대통령은 이례적으로 호주 의회에 나서 연설했다. 동남아시아 지도자 가운데 호주 의회 연설에 나선 인물은 그가 네 번째다.

중국과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을 겪고 있는 필리핀은 호주와 정상회담을 통해 해양 협력 협정을 체결했다. 호주는 동남아시아와 관계 확대를, 필리핀은 영유권 주장에 대한 추가적 당위성을 확보했다.

호주 외무부는 “동남아시아 전역의 해양 안보에 6400만 호주 달러(약 560억 원)를 투자하기로 했다”라며 “남중국해와 대만해협ㆍ메콩강 하류 등 인도 태평양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이 우리에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블룸버그통신은 호주 정부와 동남아시아 주요 국가의 협정과 협약은 무역 및 해양 협력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 걸쳐 양국을 발전시킬 것이라고 전했다.

(출처 호주 로위연구소)
(출처 호주 로위연구소)

이처럼 자국의 이익을 위한 외교전 확대를 비롯해 반대 진영 또는 주변국을 견제하기 위한 외교 네트워크 강화도 속속 이어지고 있다. 우리 정부는 물밑외교를 통해 쿠바와 수교를 맺었고, 일본 내각은 북일(北日)정상회담 추진을 공론화하기도 했다.

미국과 중국 역시 치열한 외교전을 통해 글로벌 주요 국가와 수교를 확대하면서 국제무대에서 영향력을 강화하고 있다.

호주 씽크탱크인 로위 연구소(Lowy Institute)가 지난해 발표한 ‘글로벌 외교 지수(Global Diplomacy Index)’에 따르면 올해 중국은 전 세계 274개 나라에 대사관과 영사관 네트워크를 보유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은 뒤이어 271곳이다.

2020년 발표 때 가장 많은 글로벌 네트워크를 갖추며 1위에 올라선 중국은 올해에도 이 자리를 지켰다.

로위 연구소의 외교정책 책임자인 리안 닐암(Ryan Neelam)은 “중국은 지정학적 경쟁의 핵심외교 분야에서 미국을 근소하게 앞서고 있다”라며 “중국은 아프리카와 남아시아, 태평양에서 영향력을 키우는 한편, 미국은 미주와 유럽ㆍ동아시아에서 영향력이 절대적”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잠자던 내 카드 포인트, ‘어카운트인포’로 쉽게 조회하고 현금화까지 [경제한줌]
  • '20년 째 공회전' 허울 뿐인 아시아 금융허브의 꿈 [외국 금융사 脫코리아]
  • 단독 "한 번 뗄 때마다 수 백만원 수령 가능" 가짜 용종 보험사기 기승
  • 8만 달러 터치한 비트코인, 연내 '10만 달러'도 넘보나 [Bit코인]
  • 말라가는 국내 증시…개인ㆍ외인 자금 이탈에 속수무책
  • 환자복도 없던 우즈베크에 ‘한국식 병원’ 우뚝…“사람 살리는 병원” [르포]
  • 불 꺼진 복도 따라 ‘16인실’ 입원병동…우즈베크 부하라 시립병원 [가보니]
  • “과립·멸균 생산, 독보적 노하우”...‘단백질 1등’ 만든 일동후디스 춘천공장 [르포]
  • 오늘의 상승종목

  • 11.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3,035,000
    • +3.06%
    • 이더리움
    • 4,381,000
    • -0.93%
    • 비트코인 캐시
    • 597,000
    • +0.51%
    • 리플
    • 803
    • -0.37%
    • 솔라나
    • 289,300
    • +1.12%
    • 에이다
    • 804
    • +0.88%
    • 이오스
    • 776
    • +6.3%
    • 트론
    • 230
    • +0.44%
    • 스텔라루멘
    • 151
    • +1.34%
    • 비트코인에스브이
    • 81,850
    • -0.67%
    • 체인링크
    • 19,230
    • -3.9%
    • 샌드박스
    • 400
    • +2.0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