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료품·비주류음료, 주류·담배, 주택·수도·전기·연료 등 대분류 항목 12개가 있다. 이 중에 식료품(중분류, 132개)만 선택해봤다. 식료품 품목 중에는 사과도 포함돼 있다.
‘물가 2%대’ 위해 정부 전방위 노력
올해 1월 기준으로 서울의 식료품 물가는 1년 전과 비교했을 때 7% 올랐다. 전국 기준 식료품 물가 상승률(6.0%)보다 높은 수치다. 서울 식료품 중에서 상승 품목은 97개, 하락 품목은 33개다. 변동이 없었던 품목은 2개뿐이다. ‘금사과’란 별명을 얻은 사과는 무려 80.3%나 급등했다.
서울의 식료품 물가 상승률은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높다. 상승폭이 가장 작은 지역은 강원과 제주로 4.20%로 나왔다.
정부는 올해 하반기 2%대 물가 안착을 목표로 삼고 있다. 물가를 잡기 위한 전방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달 종료 예정이었던 유류세 인하 조치를 두 달 더 연장하기로 했다. 총선(4월 10일)이 치러지는 4월에 인하 조치도 종료된다. 농·축·수산물 할인 지원에 300억 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지자체마다 공공요금 인상을 자제하자는 메시지를 내고 있다. 총선을 앞두고 물가 안정에 열을 올리고 있는 모양새다. 그렇다면 정부는 총선이 끝난 이후에도 지금과 같은 속도와 강도로 물가를 누를 것인가.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해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기자간담회에서 “세상에 공짜는 없다”고 말했다. 정부의 물가 관리 정책으로 물가가 오르지 않은 상황을 표현한 발언이었다.
지난해 한은 경제연구원에서 발간한 ‘통화정책 충격이 인플레이션 이질성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보고서를 되새겼다. 보고서에서는 “긴축통화정책으로 인해 저소득층이 상대적으로 높은 인플레이션을 체감하는 인플레이션 불평등이 발생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물가가 오르면 사치재는 안사면 그만이다. 그러나 필수재는 단어 그대로 생활에 꼭 필요한 물품이라 사야 한다. 필수재 물가를 접하는 고소득층과 저소득층의 체감은 다르다는 것이다.
‘물가 2%’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미국에서도 염원하는 통계다. 지난달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는 3.1% 올랐다. 시장의 예상치를 웃돈 수치다. 미국의 한 독립리서치 회사는 국내 언론사와의 인터뷰에서 연준의 금리 인상 가능성을 언급하기도 했다. 미국 경제에 동조하는 한국의 상황도 비슷할까. 이달 22일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통화정책방향 결정 회의를 연다. 이날 한은은 경제전망도 함께 발표한다. 작년 11월에 한은이 예상한 올해 상반기 물가는 3.0%, 하반기 물가는 2.3%다.
총선 뒤 물가안정 대책 있을지 ‘걱정’
‘물가안정’이란 착시효과를 던졌던 정부의 대책이 하나, 둘 사라진다면 그동안 억눌렸던 물가는 그제야 본색을 드러낼 것이다. 그 시기는 머지않았다.
지난달 한은 금통위에서 한 금통위원은 “시장은 단기 성장을 희생하는 정책을 선호하지 않겠지만, 물가안정 책무를 지닌 중앙은행은 최악의 결과를 예방하기 위해 중장기적인 시계에서 보수적으로 정책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물밀듯이 나왔던 물가안정대책이 앞으로도 그 속도와 강도를 유지할까. 총선 이후 물가안정을 위한 히든카드가 없다면 경제에 어떤 신호가 나올까. 숱한 물음표를 안은 채 ‘물가 청구서’가 지금 날아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