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자들의 학술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서비스 개발에 토대가 되는 초거대언어모델(LLM)이 국산에 국한되지 않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제기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박윤규 제2차관은 15일 오후 서울 마포구 누리미디어에서 전 국민 인공지능(AI) 일상화를 위한 분야별 현장 소통의 일환으로 학술·연구 분야 간담회를 개최했다.
학술·연구 분야는 AI를 활용해 방대한 학술 자료의 핵심 내용만 요약하거나, 유사 연구과제를 분석해 연구 방법론을 제시하고 결과를 예측하는 등 국민의 연구 역량을 제고할 것으로 기대되는 분야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올해부터 민간 전문분야 초거대 AI 플래그십 프로젝트를 추진, 연구자와 개발자 등이 활용할 수 있는 논문 검토·요약, 실험·시뮬레이션 방법 제시 등 학술·연구 분야 서비스 개발에 나설 예정이다.
이날 간담회에는 누리미디어, 무하유, 플루토랩스 등 학술·연구 분야 전문기업과 뤼튼테크놀로지, 업스테이지 등 AI 전문기업,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한국과학기술원(KAIST) 등 관련 전문가들이 참석해 다양한 정책 아이디어를 논의했다.
이날 국내 학술·연구 분야 AI 활용 동향을 발표한 신동호 무하유 대표는 “현재 상황에서는 연구자들이 논문 작성 시 생성형 인공지능(AI) 사용률은 높지 않지만, 요약문 작성이나 표절 검사 등 논문 작성 과정에서 AI가 활용될 수 있는 부분들이 있다”면서도 “학술·연구 분야 사용자들 사이에서 여러 AI 서비스 중 오픈AI의 챗GPT 사용률이 압도적으로 높고, 하이퍼클로바X는 사용률은 높지 않다”고 말했다.
이동재 뤼튼테크놀로지 CSO는 “서비스 개발에 있어서 GPT뿐만 아니라 다른 LLM도 일부 활용하고 있다”면서 “이 과정에서 느낀 것은 유저들에게 서비스를 전달하는 입장에서 LLM의 성능 문제로 서비스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으면 LLM 개발사가 아닌 서비스 제공하는 업체가 (고객들로부터) 욕먹는다”고 말했다. 이어 “(LLM을) 골라 쓰고 있는 입장에서 다양성이 있어야 한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에 박 차관은 “학술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서비스 개발 사업에 30억 원가량의 예산을 잡고 진행하려고 한다”면서 “다만 앞으로 기반이 되는 LLM을 무엇으로 사용할 것인가가 화두가 될 것으로 보이는데, 과기정통부가 이와 관련해 균형을 맞춰 전향적인 자세를 취할 수 있지 않느냐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한편, 논문작성이나 제안서 작성, 행정처리를 지원하는 단일 AI 플랫폼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서민준 카이스트 AI대학원 교수는 “논문쓰는 것이나, 제안서 작성, 행정처리를 하나의 플랫폼에서 할 수 있으면 좋을 것 같다”면서 “연구자들이 연구 외에 다른 일로 시간을 쓰는 대신, 본질적으로 연구에 집중할 수 있도록 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