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국민연금에 따르면 세계적 사모펀드(PEF) 운용사인 프랭클린템플턴은 8월 국민연금공단이 위치한 전주에 연락사무소를 열었다. 프랭클린템플턴은 30여 개 국가에서 주식, 채권, 사모, 부동산, 인프라 등의 자산군에 총 1조4000억 달러(약 1841조 원)를 운용하고 있다. 국민연금은 2001년부터 프랭클린템플턴에 주식, 채권, 사모, 부동산, 인프라 등의 자산을 위탁 중이다.
스웨덴 발렌베리 가문이 소유하고 있는 투자회사로 유명한 EQT파트너스는 올해 2월 서울 사무소를 개소했다. EQT는 국내 진출 한 달 만에 SK쉴더스 인수 추진을 성공시켰다. 싱가포르 인프라펀드인 케펠인프라스트럭처트러스트도 한국 사무소를 개소하며 시장 공략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세계적인 PEF 운용사 중 하나인 칼라일 그룹은 지난달 27일 한국투자증권과 장기적인 파트너 관계 구축을 위한 전략적 제휴를 맺었다. 한국투자증권은 이번 제휴를 통해 칼라일 펀드에 총 3억 달러의 투자를 확약하고, 연간 약 40억 달러 규모의 해외 크레딧 상품 확보 기회를 약속받았다고 전했다.
미국계인 프리티움파트너스·누버거버먼자산운용·오차드·블랙스톤·아폴로글로벌매니지먼트와 영국계 금융사인 맨그룹·콜러캐피털·안젤로 고든·플러그앤플레이 등도 최근 국내에 진출했다. 브룩필드자산운용(캐나다)·IMC증권(네덜란드)·노르딕캐피탈(노르웨이)·나틱시스은행(프랑스) 등도 한국에 둥지를 틀었다.
이미 국내에 진출한 콜버그크래비스로버츠, 칼라일, 텍사스퍼시픽그룹, 베인캐피탈, CVC캐피탈, 어피너티에쿼티파트너스 등은 투자인력 확충에 나서며 입지를 다져가고 있다. 도이치뱅크는 미즈호증권 출신 문정혜 본부장을 한국 DCM(채권발행시장) 본부장으로 영입하며 채권 부문을 5년 만에 재개했다.
한국을 방문하며 스킨십을 강화하려는 움직임도 보인다. ‘월가의 황제’·‘제2의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으로 불리는 제이미 다이먼 JP모건체이스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는 6월 방한해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와 금융지주 회장 등을 만났다. 다이먼 회장은 지난달 파산 위기에 몰린 미국 퍼스트리퍼블릭은행을 전격 인수하며 글로벌 금융시장의 ‘구원투수’ 역할을 해 주목받았다.
9월에는 야시르 오스만 알 루마이얀 아람코 회장 겸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PIF) 총재가 한국시장을 찾았다. 사우디 국부펀드는 사우디 왕가가 출자해 조성한 국영 펀드로, 펀드 운용 규모는 7000억 달러(약 933조 원)에 이른다.
세계 최대 PEF 운용사 콜버그크래비스로버츠(KKR)의 조셉 배 공동 CEO도 7월 방한했다.
지난해 10월부터 하워드 막스 오크트리캐피털 회장, 데이비드 골럽 골럽캐피탈 사장, 찰스 달라라 파트너스그룹 이사회 의장, 제임스 젤터 아폴로자산운용 대표 등이 한국을 찾았다.
글로벌 큰 손들의 국내 진출은 더 늘어날 전망이다. 한국 자본시장의 덩치가 갈수록 커지고 있고, 코로나19 이후 좀비기업(한계기업)들이 급증하며 기업매물도 늘어 인수·합병(M&A) 기회도 풍부하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한계기업은 지난해 3만129곳 중 35.1%에 달했다.
최순영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글로벌 투자은행은 금융위기 이후의 새로운 환경에 맞추어 사업구조의 재편에 나서고 있다”며 “공통적으로 과거에 비해 수익성보다 안정성에 비중을 두면서 사업부문 간의 균형을 추구하는 모습이며 특히, 리테일 시장으로의 사업 진출은 금융위기 이후 특징적인 변화다”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