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9월 5일~7일 인도네시아에서 개최되는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상회의와 9일~10일 인도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 연달아 참석한다. 회의 참석을 계기로 회원국들과 양자 정상회담을 갖고,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 등 경제 관련 행사를 통해 원전·방산 등 '세일즈 외교'에도 나선다.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은 31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열고 윤 대통령의 내주 순방 계획을 밝혔다. 김건희 여사도 이번 순방에 동행할 예정이다.
윤 대통령은 먼저 5~8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를 방문해 아세안 관련 정상회의 참석 후 인도네시아 공식 방문 일정을 소화할 예정이다. 5일 저녁 자카르타에 도착해 동포 만찬 간담회를 갖고, 6일 한-아세안 정상회의와 아세안+3(한일중) 정상회의에 참석해 협력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별도의 한중일 정상회의 개최 여부에 대해 "올해 안에 한일중 정상회의가 열릴 수 있도록 일본, 중국과 협의하고 있다"며 "이번 방문에는 한일중 정상회의가 열리기 어렵다"고 말했다.
7일에는 18개국 정상이 참여하는 전략적 성격의 포럼인 '동아시아정상회의'(EAS)에서 북핵 문제를 포함한 국제 현안에 대한 우리 입장을 개진하고, 대한상공회의소와 인도네시아 상의가 공동 주최하는 한-인도네시아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에 참석할 예정이다. 김 차장은 "아세안 참석 계기로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캄보디아 등과의 양자 회담이 확정됐고, 아세안 회원국들과 파트너국간 양자 회담도 조율 중에 있다"고 밝혔다.
이번 인도네시아 방문은 지난해 7월 공식 방한한 조코 위도도 대통령의 초청에 따른 것으로, 올해 한·인도네시아 수교 50주년을 기념하는 공식 방문 형식으로 진행된다. 윤 대통령은 인도네시아 체류 마지막 날인 8일 오전 자카르타의 대통령궁에서 조코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하고 주요 협력 문서에 서명할 계획이다.
윤 대통령은 8일 인도 뉴델리로 이동해 G20 정상회의 관련 일정을 소화한다. G20 정상회의 프로그램인 '하나의 지구', '하나의 가족', '하나의 미래' 세션에 참석할 예정이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주최하는 만찬, 간디 추모공원 헌화 및 식수 등의 행사에도 참여하고, 의장국인 인도를 포함해 스페인과 아르헨티나, 모리셔스 등 각국 정상과 양자 회담도 개최한다. G20 일정 이후에는 인도 현지에 진출한 기업인들과 간담회도 가질 예정이다.
G20을 계기로 한중정상회담이 작년 11월 이후 10개월 만에 개최될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G20에는 중국 주석이 참석해 왔으나 현재까지 이번 회의에 중국의 어떤 지도자가 어떤 행사에 나올지 통보해주지 않고 있다"며 "이번에 한중정상회담은 중국이 누구를 보내느냐에 따라서 논의가 열릴 수도 있고, 그다음 다자회의 계기로 미뤄질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순방의 경제 분야 키워드는 수출시장 확대, 첨단산업 공급망 다변화, 디지털 리더십 강화 등 3가지다. 아세안과 인도가 한국 수출의 21%를 차지하는 주요 시장인 만큼 적극적인 세일즈 외교를 통해 작년 10월 이후 계속된 수출 마이너스(-) 행진에 종지부를 찍는 모멘텀을 만든다는 계획이다.
최상목 대통령실 경제수석은 이날 브리핑에서 "다수의 양자 회담을 통해 원전, 방산, 인프라 등 우리의 유망 수출 산업을 적극 홍보하고 국가별 자유무역협정(FTA) 협상과 이행 상황을 점검하는 한편, 우리 기업들의 진출 애로 사항도 집중 제기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아세안과 인도는 핵심 광물이 풍부하고 우리 기업들이 공급망 다변화 차원에서 진출을 확대하고 있는 전략 국가"라며 "전기차, 배터리 공급망이 긴밀히 연결돼 있는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과의 첨단산업 공급망 협력을 강화하는 한편,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에서의 공급망 공조 방안도 논의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순방에는 공식 경제사절단은 없지만, 인도네시아 현지에서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이 열리는 만큼 관련 기업이 동행할 예정이다. 재계에서는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과 구광모 LG그룹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구자은 LS그룹 회장 등 양국 주요 기업 CEO 4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