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가지만 알면 확실히 감 잡을 수 있다. 자타 공히 인정하는 지속가능경영의 선두주자 유럽, 자국 내 수많은 ESG 찬반 논란에도 불구하고 유독 기후문제만큼은 진심인 미국, 세계화는 미국화라는 공식을 깨면서 전 세계 회계기준을 리드해 가는 IFRS의 공시 방침이 바로 그것이다.
먼저 유럽을 보자. 2023년 7월 31일,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는 ‘유럽지속가능성 보고표준(European Sustainability Reporting Standards, ESRS)’을 최종 통과시켰다. EU는 2014년에 제정된 ‘비재무정보’ 공시지침을 2022년 8년 만에 ‘지속가능정보’ 공시지침으로 개정했다. 제목만 봐도 그 변화를 읽을 수 있다.
비재무정보로 정의한 것을 지속가능정보로 바꾼 것이다. 인권 문제가 있을 경우 과징금을, 과도한 탄소배출에 국경세를 부과하고, 워싱 등 부정적인 ESG 이슈가 생길 경우 기업가치가 급락하는 시장 현실을 반영한 것이다.
재무 비재무적 영향이 모호해졌을 뿐 아니라 상관관계가 높아지면서 ESG 이슈가 지속가능한 생존 문제로 격상된 덕분이다.
이제 이를 실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공시 이행기준이 나와야 한다. 바로 유럽지속가능성 ‘보고기준’(ESRS)이다. 공시 기준은 자산, 매출, 종업원 수에 따라 다르다. 복잡하니 이렇게 정리하고 넘어가자.
“유럽이 비재무지침을 지속가능지침으로 바꿨구나. 그리고 그 이행기준을 발표했네. 이제 EU와 비즈니스를 하는 한국 기업들은 필수적으로 준비해야 하겠구나.”
다음은 미국.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2022년 3월 ‘기후관련 리스크’ 공시를 의무화하고 2024년부터 단계적으로 적용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2010년 기존의 자율적인 기후변화 리스크 공시 ‘가이던스’가 의무화된 것이다. “미국에 상장한 한국 회사나 미국의 상장회사를 고객으로 둔 한국 기업은 ESG 경영을 잘 대비해야 한다.” 이렇게 이해하면 된다.
마지막으로 IFRS가 추진하는 국제지속가능성 기준위원회(International Sustainability Standards Board, ISSB)다. ISSB는 “상장사와 금융회사가 적용 대상이 되겠구나”로 기억해 두자. ‘투자자’를 위한 ESG 공시라는 뜻이다.
도대체 ESG 공시 의무화는 왜 할까? 외부에서는 재무 외에는 기업의 내부정보를 잘 모른다. 내부통제나 횡령처럼 기업가치에 상당한 영향을 끼치는 아주 중요한 정보라도 말이다. 기업의 장부가치와 시장가치가 차이 나는 주된 이유다. 그러니 꼭 기억해두자. “ESG 공시혁명의 핵심취지는 정보비대칭을 해소하자는 것이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