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CSR, 기업 가치만 아니라 국격도 높인다

입력 2023-05-18 08:2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활동이 해당 기업 가치뿐만 아니라 국가 브랜드 가치도 몰라보게 높인다는 증언이 나왔다. 장영진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이 어제 ‘2023 CSR 국제 콘퍼런스’에서 공개한 생생한 목격담이다. 최근 장관 면담을 위해 인도네시아를 방문했던 장 차관은 “우리 기업이 현지에서 CSR 활동을 벌이고 있다”면서 그렇게 강조했다.

장 차관이 참석한 콘퍼런스는 본지 주최로 2012년 시작해 올해로 12회를 맞은 CSR 전문 콘퍼런스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매년 개최된다. 어제는 ‘CSR for ALL : 지속가능성과 회복탄력성을 위한 전략’을 주제로 CSR의 다양한 가능성을 진단했다. 코로나 충격을 이겨낸 포스코 등 4개 기업 사례도 소개됐다.

‘이해관계자 자본주의 시대의 CSR 전략’이란 주제로 기조연설을 한 유재욱 교수(건국대)는 CSR을 “외부 환경과 시장 지위의 변화 속에서 차별성을 확보하기 위한 사업전략”으로 규정했다. 유 교수는 “기업들이 더 이상 투자가 아니라 새로운 사업 기회를 창출하기 위한 기회로 인식하고 대처하기 시작했다”고도 했다. 보태고 뺄 것이 없다. 이 시대의 기업들에 CSR은 더 이상 윤리적·도덕적 책임 등의 추상적 형태로 머물지 않는다. 장 차관 역시 어제 “기업들이 예전엔 크게 관심이 없었지만 이제 마케팅을 넘어 생존의 문제로 인식하고 있다”고 했다.

CSR에 대한 시장 관심도 부쩍 높아지고 있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최근 일반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보면 CSR을 적극 이행하는 기업 제품을 구매하겠다는 응답이 87.3%에 달했다고 한다. 기업이 CSR 과제를 어찌 소화하느냐는 문제가 실제로 기업 생존과 직결되는 것이다.

전경련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이 지난달 발표한 유의미한 보고서를 곱씹을 필요가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민간 경제활동의 자유도가 높아질수록 경제성장이 촉진되고 CSR이 강화된다는 실질적 증거가 수두룩하다. 결국 국민 삶의 질도 크게 좌우된다고 한다.

그런데도 유감스럽게 국내 기업의 CSR 활력과 국민 삶의 질을 좌우할 우리나라 경제자유도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국 중 26위에 그치고 있다. 장 차관은 어제 CSR에 대한 정부 지원 강화를 다짐하며 세제 등을 언급했다. 세제 지원 다짐은 당연히 반갑지만 기업 생태계를 질식시키는 각종 규제도 최우선적으로 확 풀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CSR 활동 확산과 더불어 국민 삶의 질이 몰라보게 높아지고 국격 또한 달라질 미래를 기대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20년 째 공회전' 허울 뿐인 아시아 금융허브의 꿈 [외국 금융사 脫코리아]
  • 단독 "한 번 뗄 때마다 수 백만원 수령 가능" 가짜 용종 보험사기 기승
  • 8만 달러 터치한 비트코인, 연내 '10만 달러'도 넘보나 [Bit코인]
  • '11월 11일 빼빼로데이', 빼빼로 과자 선물 유래는?
  • 환자복도 없던 우즈베크에 ‘한국식 병원’ 우뚝…“사람 살리는 병원” [르포]
  • 100일 넘긴 배달앱 수수료 합의, 오늘이 최대 분수령
  • '누누티비'ㆍ'티비위키'ㆍ'오케이툰' 운영자 검거 성공
  • 수능 D-3 문답지 배부 시작...전국 85개 시험지구로
  • 오늘의 상승종목

  • 11.11 11:46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3,494,000
    • +5.58%
    • 이더리움
    • 4,469,000
    • +2.27%
    • 비트코인 캐시
    • 626,000
    • +12.09%
    • 리플
    • 831
    • +4.53%
    • 솔라나
    • 293,000
    • +3.72%
    • 에이다
    • 836
    • +15.63%
    • 이오스
    • 815
    • +18.46%
    • 트론
    • 232
    • +3.11%
    • 스텔라루멘
    • 155
    • +7.64%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850
    • +12.08%
    • 체인링크
    • 20,240
    • +4.12%
    • 샌드박스
    • 420
    • +10.2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