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수도권 매입임대 주택 인기가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청년 매입임대주택 경쟁률은 최근 3년 내 최고 수준을 기록 중이다. 특히 지난해 말 전세사기 피해가 수면 위로 떠오른 뒤 올해 초까지 경쟁률이 폭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시장 불안이 계속되자 공공이 직접 관리하는 임대주택 선호도가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25일 본지가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 의뢰해 받은 임대주택 경쟁률 분석 결과를 보면 올해 3월 기준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청년 매입임대 주택 경쟁률은 45대 1로 2020년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특히 올해는 서울 기준 3만9264명이 신청했는데 이는 지난해 서울 3차 모집 당시인 3만2968명보다 20% 이상 많은 수준이다.
청년 매입임대주택 신청자는 해를 거듭할수록 늘고 있다. 지난달까지 올해 수도권 청년 임대주택 공급 규모는 1143가구 수준이었지만, 신청자는 5만1478명에 달했다. 올해 경쟁률 45대 1 수준은 지난해 경쟁률 29.2대 1의 약 1.5배 규모다. 지난해에는 총 5593명 모집에 16만3443명이 지원했다. 이는 2020년 한 자릿수 경쟁률 4.8대 1을 기록한 뒤 2021년에는 5228명 모집에 9만6486명이 신청해 18.4대 1로 경쟁률이 치솟은 이후 3년 연속 상승세다.
LH 관계자는 “서울 매입임대주택 수요는 지난해 공급물량 대비 100배 이상을 기록할 정도로 넘치는 상황이고, 경기지역 역시 올해 기준으로 지난해의 두 배가량 지원자가 증가했으며 인천도 전년 대비 급증세”라고 설명했다.
또 올해 초 공급된 전세형 매입임대주택 역시 서울은 최고 세 자릿수 경쟁률을 기록하는 등 인기를 끌었다. 지난 1월 마감한 전세형 매입임대주택은 594가구 모집에 8477명이 신청해 평균 14.3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2021년 말 4대 1, 지난해 8월 8.4대 1 수준의 경쟁률과 비교하면 지원자가 대폭 늘어난 셈이다. 전세형 매입임대주택은 보증금을 기본 5000만 원(월 임대료 12만 원)부터 1500만 원(월 19만2910원)까지 낮출 수 있는 전환제도를 사용할 수 있다.
이렇듯 공공이 주관하는 매입임대주택 선호가 늘어난 것은 지난해 전세사기 사태 이후 민간 임차인 기피와 전세시장 불안, 공공 운영의 안정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풀이된다.
서진형 공정경제포럼 공동대표(경인여대 교수)는 “공공 임대주택의 경우 민간보다 보증금과 월세 수준이 저렴하고, 안정성도 갖춰 앞으로 수요는 계속 증가할 것”이라며 “다만 전세사기 대응에 공공 임대 관련 예산을 사용하면 그만큼 주거 취약계층을 위한 주택 공급이 줄어들 수 있으므로 정책 조율 등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청년 매입임대주택은 만 19세 이상부터 만 39세 이하 무주택 요건 등을 갖춘 미혼 청년을 대상으로 최장 6년까지 월 임대료 기준 시세 40~50% 수준에 공급하는 주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