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기준 강원도 R&D(연구·개발) 규모는 5551억 원으로 전국(93.1조 원)의 0.6%에 불과하다. 강원도는 지정학적 특성상 규제가 다른 지역보다 많아 산업발전의 걸림돌로 작용해 온 만큼 R&D 투자 유치를 통해 산업역량을 강화하는 전략을 택해야 한다.”
23일 대한상공회의소 주최로 강원 원주의 원주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제5차 지역경제포럼’에서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이같이 밝혔다. 강원지역의 R&D 규모가 전국의 1%에도 미치지 못하는 만큼 지역 경제 발전을 위해서는 관련 투자 유치가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2020년 기준 전국에서 R&D 규모가 가장 큰 지역은 수도권(64.4조 원)으로 전체 R&D의 69.2%를 차지했다. 이어 충남권(15.1조 원) 16.2%, 동남권(5.9조 원) 6.3%, 대경권(4.1조 원) 4.4%, 호남권(2.9조 원) 3.1%, 강원권(0.5조 원) 0.6% 순이었다.
이날 포럼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강원권의 지역혁신생태계 구조고도화를 위해서는 R&D 투자 확대가 필요하다는 데 뜻을 같이했다.
패널토론에 나선 이충선 춘천바이오산업진흥원 기업지원실장은 “강원권 제조기업의 약 24%를 차지하는 바이오·의료기기·신소재 분야는 기술집약적 산업으로 R&D가 성패를 좌우한다”며 “바이오산업은 다른 산업보다 R&D 과정에서 관련 기술과 제품이 산업화될 수 있는 경로가 많고 그 가능성도 커 지역경제에도 높은 파급효과를 미칠 것”이라고 주장했다.
양명배 원주의료기기테크노밸리 전략기획실장은 “현재 원주에 190여 개의 의료기기 업체가 있지만 ‘혁신형 의료기기 기업’은 1개에 불과하다”며 “장시간 막대한 연구개발 비용이 소요되는 업종 특성상 정부와 지자체의 전폭적인 지원 없이는 첨단의료기기 산업을 키워나가기 어렵다”고 우려했다.
혁신형 의료기기 기업은 보건복지부가 인증한 기업으로 연구개발로 산업을 선도하는 ‘혁신선도형 기업(의료기기 매출 500억 원 이상, 매출액 대비 R&D 비중 6% 이상)’과 혁신기술을 바탕으로 성장이 유망한 ‘혁신도약형 기업(의료기기 매출액 500억 원 미만, 매출액 대비 R&D 비중 8% 이상)’으로 구분된다. 현재 전국 41개 기업이 지정됐지만 강원도에는 1개뿐이다.
장석인 태재아카데미 연구위원은 “강원도의 지역특화산업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도내 소재한 14개의 지원기관, 10개의 연구기관 등 주요 혁신지원 기관들이 공통의 목표를 갖고 지속적으로 일관된 지원사업 추진이 중요하다”며 “R&D 투자 사업화, 인재양성 등 산업화 과정에서 어떤 성과를 거둘지에 대한 명확한 계획과 방향성에 대해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강원특별법 특례를 보완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박기관 상지대 교수는 주제발표를 통해 “강원특별자치도 출범이 6개월 앞으로 다가왔는데 아직 분권, 사업특례 등 핵심 조항들이 미비하다”며 “강원특별법이 강원지역의 성장 모멘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실효성 있는 특례들을 많이 발굴해 포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 교수는 “국내 최초의 특별자치도인 제주도는 2006년 당시 363개 조항으로 출범했지만 강원도는 10분의 1에도 못 미치는 23개 조항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강원권 기초지자체들의 건의와 연구원의 발굴 노력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만큼 다양한 특례들이 추가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