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은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을 100일 앞둔 날이다. 올해 수능도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로 문·이과 통합 체제로, 모든 수험생이 국어와 수학 영역을 '공통과목+선택과목'으로 치르게 된다. 입시전문가들은 "본인의 현재 상황에 최적화된 학습으로 실질적인 점수 향상을 이끌어내고 그에 맞는 지원 전략을 구체적으로 세워야 한다"고 강조한다.
9일 입시업체 등에 따르면 최근 몇 년간 대입 공정성 논란이 확산하면서 정시 수능 위주 전형 비중이 커지고 있다. 실제, 올해 주요 15개 대학 정시모집 선발 규모는 전체 정원의 42%인 2만539명으로 지난해에 비해 6.5%(1256명) 증가했다.
의예과·치의예과·약학과 또한 정시로 선발하는 비율이 39.6%(2621명)에 이른다. 게다가 수시에서 선발하지 못한 인원은 정시로 이월해 선발하기 때문에 2023학년도 수능 전형 선발 규모는 전체 모집인원의 50% 가까이 될 수 있다.
남윤곤 메가스터디교육 입시전략연구소장은 “수시전형에서는 목표 대학의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충족하기 위한 전략적 학습이 필요하다”며 “정시에서는 목표 대학의 수능 영역별 가중치를 파악해 주력 영역을 집중적으로 학습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입시업계에 따르면 통합 수능 2년 차에 언어와 매체, 미적분 선택 학생이 증가하는 추세다. 그러나 입시 전문가들은 선택과목별 유불리에만 집중하지 말고 자신만의 공부를 해 나가야 한다고 조언한다.
이만기 유웨이교육평가연구소장은 “선택과목 유불리가 존재한다고 해서 너무 의식하지 말고 공통과목에 역점을 두고 수능을 준비해야 한다. 국어와 수학은 배점이 높은 공통과목에서 고득점을 받으면 유리하다”며 “유불리에 신경 쓰지 말고 본인이 선택한 과목에 최선을 다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점수대별로 전략을 달리해야 한다는 조언도 나왔다. 상위권이라면 기본 문항을 최대한 빠르고 정확하게 푸는 연습을 통해 실수를 줄이고 고난도 문항을 풀 시간을 확보하는 연습을 해야 한다. 중위권은 모르는 문제를 틀리는 것보다 아는 문제를 실수로 틀리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하위권이라면 기출문제를 풀 때 너무 어려운 문제에 매달리기보다 자신이 맞힐 수 있는 문제부터 모두 맞히고 오답 정리를 통해 틀린 문제의 개념과 풀이 방식을 확인하는 것이 좋다.
이제부터는 수능형 생체리듬을 만드는 것도 필요하다. 수능은 국어영역 80분, 수학 영역 100분 등 꽤 오랜 시간 진행되기 때문에 고도의 집중력을 필요로 한다. 남은 기간에 2시간 단위로 끊어서 학습하고 휴식을 취하는 과정을 반복하면 수능시험에 최적화된 생체 리듬을 갖는 데 도움이 된다.
한편, 이번 수능에서도 수험생들은 마스크를 쓰고 시험에 응시해야 한다. 코로나19 확진자를 비롯한 격리대상자, 유증상자는 별도로 마련된 시험장 또는 시험실에서 시험을 치른다.
특히, 작년까지는 확진자들은 병원·치료센터에서 응시했지만, 올해는 확진자 대부분이 재택치료를 하는 만큼 수능 당일 응시 목적의 외출이 허용돼 별도시험장으로 이동해 시험을 보게 된다. 입원치료 수험생은 병원 등 치료시설에서 응시하고, 유증상자는 일반 시험장 내 분리시험실에서 시험을 치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