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뿐 아니라 국내 기업들도 ESG위원회를 만들고 CEO가 직접 챙기며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나 아직은 시작단계이다. ESG(Environmental·Social·Governance)는 환경·사회·지배구조를 기업의 주요 경영 활동과 연계하고 비재무적 성과지표로 활용한다는 개념으로 앞으로는 기업 공시에도 반영될 예정이다.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기업의 사회적 책임)는 기업이 지역사회와 이해관계자들의 공생을 위해 책임의식을 가지고 진행하는 자발적 활동이다. ESG는 기업이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사회문제 해결에 참여한다는 점에서 CSR와 유사하지만, ‘좋은 일 하는 착한 기업’의 역할 수행을 위해서가 아니라 기업의 생존을 위한 경영활동과 연계된다는 점에서 분명한 차이가 있다.
기업의 브랜드 가치에서 늘 빠지지 않는 것이 ‘지속가능성’과 ‘진정성’인데 다소 추상적이라 그 진심과 실천에 대해 둔감해지기도 한다. 그러나, 기후변화와 코로나19로 이제는 ‘지속가능성’에 대해 더 이상 선택이 아닌 ‘생존을 위한 진짜 노력’이 필요함을 모두가 체감하기 시작했고, 이로 인해 ESG가 주는 무게감은 더욱 크다. 대규모 투자사들도 앞으로 ESG지표를 평가의 중요한 기준으로 삼겠다고 하니 매출이 아무리 좋아도 ESG 실천 없이는 투자조차 불가능해지겠다.
급속도로 변하는 사회에서 혼돈의 터널을 뚫고 나와 지속적으로 살아남는 자가 누구일지가 개인·제품·기업·도시·국가 등 모든 존재의 고민이 되었고, 이전과는 다른 온도로 존망에 대해 생각하기 시작했다. 더 이상 우리가 직면한 지구환경과 사회문제에 개별 대응하는 것이 불가능해졌음을 모두가 알게 되었다. 지금껏 잘 살아왔으니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 여긴다면 아주 심각한 시대착오적 생각이다.
개인부터 국가까지 모든 존재를 ‘브랜드’라 칭하고 지속 가능한 브랜드의 조건을 생각해 보니 ‘1)명확한 브랜드 존재의 이유 2)일관된 브랜드 경험을 제시 3)내외부와의 약속 이행을 통한 애착관계 형성 4)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노력’으로 귀결된다. 남이 해서가 아니라 주체적인 의지로 시작해야 하며, 말만이거나 하다 말거나 들쭉날쭉이어서는 안 된다.
임원들의 성과평가와 보상 기준에 ESG를 반영한다는 애플의 기사를 보니 임원이나 조직 뿐만 아니라 개개인의 삶에서도 KPI(Key Performance Index·핵심성과지표)로 삼으면 좋겠다는 생각이다. 누군가에게 잘 보이기 위해서가 아니라 목표 설정을 통해 우리 모두가 공동의 숙제를 하는 데 작은 가이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기업들의 움직임과 함께 벌써 ESG 관련 포럼이나 교육이 여러 곳에서 준비되고 있다. 바람은 이것이 이전의 어떤 열풍들처럼 유행에 그치지 않았으면 하는 것이다. 기업의 전략이 잘 짜여지고 CEO가 아무리 열심히 움직인다 하더라도 구성원과 주변의 이해관계자 개개인이 공감하고 동참하지 않으면 의미 없다. 나의 일상에서 환경과 사회문제, 지배구조(가족 간 소통과 지역사회의 관계라도)를 어떻게 개선해 더 나은 세상에서 살아갈지 아주 작은 목표부터 세워 보면 어떨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