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ㆍ공기업 등이 배출하는 온실가스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탄소중립을 달성하려면 탄소 포집ㆍ활용ㆍ저장(CCUS) 기술을 확보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22일 보고서 '탄소포집(흡수)기술의 글로벌 동향과 과제'를 발표하면서 이같이 주장했다.
미국 환경부에 따르면 CCUS는 석탄발전소 등에서 방출된 탄소를 포집해 재사용하거나 저장해 대기 중 유입되지 않도록 처리하는 기술을 말한다.
전경련은 "22일은 지구 환경오염 문제의 심각성을 알리고 환경보호의 경각심을 일깨우기 위해 제정한 지구의 날"이라며 "환경 이슈 중에서도 탄소중립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의 효과적인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밝혔다.
전경련이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온실가스 배출 정보를 공개한 대기업과 공기업 등 38개사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온실가스 배출량(절대량 기준)은 2.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DP) 한국보고서에 공개된 기업들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보면 2017년 2억2660만 톤에서 2019년 2억3312만 톤으로 늘었다.
온실가스 감축 기업은 38개사 가운데 16개사였다. 나머지 기업들은 배출량이 오히려 증가했다.
2030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가 2017년 배출량 대비 24.4% 감축(절대량 방식)인 점을 고려하면 다소 상반된 모습이다.
전경련은 최근 국제사회가 CCUS를 탄소중립 달성 핵심 요인으로 보고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고 전했다.
미국은 CCUS 시설 등에 대한 세액공제 혜택을 확대했고, 일본은 2030년 CCUS 상용화를 위한 로드맵을 제시했다. 노르웨이는 27억 달러, 우리 돈 약 3조 원을 투자해 탄소포집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반면, 한국은 올 3월 말이 돼서야 상반기 안으로 CCUS 상용화 로드맵을 발표하겠다고 밝히는 등 기술 개발 경쟁에서 뒤쳐진 상황이라는 것이 전경련 설명이다.
최근 니혼게이자이신문 등에 따르면 미ㆍ일ㆍ호주ㆍ아세안(ASEAN)은 CCUS 상용화 파트너십을 추진 중이다.
전경련은 "기술개발에 적극적인 미ㆍ일 등이 주도하고 ASEAN이 테스트베드를 제공하는 만큼 참여 시 상당한 기술 공유가 가능하다"며 "CCUS판 쿼드 논의 추이를 주시하면서 합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했다.
전경련은 또 국내 CCUS 상용화 기술 확보 목표 시점을 2030년보다 앞당겨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 관련 사업에 정부 예산 등 자원을 우선 배정하고, 연구ㆍ개발(R&D) 기업에도 큰 폭의 세제 혜택 등을 제공해야 한다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