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 톡!] LG전자의 휴대폰 사업 철수 결정과 특허 내재화의 의미

입력 2021-04-13 05: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이태영 LNB 특허법률사무소 대표변리사

LG전자가 5일 이사회를 열고 7월 31일 자로 휴대폰 사업을 종료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LG전자는 한때 ‘초콜릿폰’과 ‘프라다폰’으로 휴대폰 강자로 떠올랐지만, 스마트폰으로의 시장 전환에 재빨리 대응하지 못하여 점유율이 떨어졌고 결국 23분기 연속 영업적자를 견디지 못하고 사업을 철수하기로 결정한 것이다.

LG전자가 처음부터 사업 철수를 결정한 것은 아니었다. LG전자는 초기에 MC사업부의 매각을 고려하였지만, 시장의 잠재 매수자들은 특허권을 포함한 사업부 일체의 인수를 원하였고 LG전자는 특허권을 제외한 부분만을 매각하기를 원하였기에 매각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도 그럴 것이 LG전자가 보유한 통신 관련 표준 특허는 약 2만4000여 개로 알려져 있으며 LG전자로서는 향후 미래사업인 인공지능(AI), 로봇, 전장부품 등을 추진함에 있어 이런 표준특허를 포기하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이렇듯 기업의 가치에서 특허권과 같은 무형자산의 가치의 비율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기업이 망하면 특허를 남긴다’라는 속담을 만들어도 이상하지 않을 정도이다.

사실 지식재산권의 중요성은 노키아 매각 사례에서 이미 보여준 바 있다. 2008년 글로벌 휴대폰 시장 점유율 약 40%를 차지했던 노키아는 스마트폰 전환에 실패하여 급격하게 내리막을 걷다 2013년 휴대폰 사업부문을 마이크로소프트에 매각하였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노키아가 특허권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만을 매각하였다는 것이다. 노키아는 매각한 돈으로 2013년 통신장비회사인 지멘스네트워크를 인수하였고, 2016년에는 역시 통신장비회사인 알카텔-루슨트와 합병하였다. 노키아는 특허권을 기반으로 2014년 이후 세계 3대 통신장비업체로 발돋움하였으며 매년 특허료로 1조 원 이상을 벌어들이고 있다.

LG전자는 종합가전회사라는 점에서 노키아와 기업의 특성이 다르지만, 특허권을 매각하지 않고 향후 비즈니스에 활용하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이렇게 특허권과 같은 지식재산권의 가치가 높게 평가받는 것은 지식재산권이 기업의 시장지배력을 강화할 수 있는 수단이기 때문이다. LG전자의 사례는 기업 경영에 있어 강력한 지식재산권 확보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여실히 보여준다.이태영 LNB 특허법률사무소 대표변리사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20년 째 공회전' 허울 뿐인 아시아 금융허브의 꿈 [외국 금융사 脫코리아]
  • 단독 "한 번 뗄 때마다 수 백만원 수령 가능" 가짜 용종 보험사기 기승
  • 8만 달러 터치한 비트코인, 연내 '10만 달러'도 넘보나 [Bit코인]
  • '11월 11일 빼빼로데이', 빼빼로 과자 선물 유래는?
  • 환자복도 없던 우즈베크에 ‘한국식 병원’ 우뚝…“사람 살리는 병원” [르포]
  • 100일 넘긴 배달앱 수수료 합의, 오늘이 최대 분수령
  • '누누티비'ㆍ'티비위키'ㆍ'오케이툰' 운영자 검거 성공
  • 수능 D-3 문답지 배부 시작...전국 85개 시험지구로
  • 오늘의 상승종목

  • 11.11 13:5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3,966,000
    • +4.65%
    • 이더리움
    • 4,450,000
    • +1.25%
    • 비트코인 캐시
    • 615,000
    • +2.07%
    • 리플
    • 827
    • +3.76%
    • 솔라나
    • 291,200
    • +2.79%
    • 에이다
    • 832
    • +4.65%
    • 이오스
    • 805
    • +11.5%
    • 트론
    • 232
    • +3.11%
    • 스텔라루멘
    • 157
    • +7.53%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000
    • +4.49%
    • 체인링크
    • 19,820
    • -0.4%
    • 샌드박스
    • 421
    • +8.5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