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현대자동차가 '자율주행 및 친환경차(전기차ㆍ수소전기차) 국제기준' 선점을 위해 손을 맞잡는다.
'국제 표준 선점을 위한 민ㆍ관 합동 추진체(가칭)'를 중심으로 구체적인 행동계획 마련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23일 국토교통부 출연연구기관과 현대차 등 복수 관계자에 따르면 정부는 자율주행 및 친환경차 국제기준 선점을 위한 ‘첨단 및 친환경차 국제기준 제ㆍ개정 민관합동 추진체’를 구성한다.
국토부 출연연구기관 관계자는 “현재 자율주행이나 친환경차와 관련한 명확한 국제 표준이 없는 상황"이라며 “주요 국가가 자국의 이익이 반영된 기준을 글로벌 표준으로 추진하기 위해 경쟁하고 있는 양상"이라고 말했다.
이어 “현행법을 보면 전담기관을 지정해 대응하게 돼 있는데 전담기관의 명확한 업무 범위, 예산 지원 근거가 없다"라며 "추진단의 업무를 보다 구체화하기 위해 국외사무소 등을 개설하고 이에 따른 예산 근거도 마련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미래차 기술은 국가와 지역별로 방향성이 다르다. 미국은 자율주행, 유럽과 중국은 친환경 전기차에 적극적이다. 한국과 일본은 수소연료전지차(수소전기차) 기술표준을 놓고 경쟁 중이다.
아직 뚜렷한 '마켓 리더(시장 선도자)'가 없는 상황에 글로벌 자동차 기업의 미래차 경쟁은 점진적으로 가열되는 양상이다.
유럽에서는 폭스바겐이 주도하는 전기차 기술이 확산 중이고, 미국에서는 GM과 구글(웨이모) 등이 자율주행차 기술을 주도 중이다. 수소전기차 분야에서는 현대차와 토요타의 선두 경쟁이 치열하다.
이에 따라 국제표준 선점 경쟁은 더 치열해지고 있다. 우리 정부도 구체적인 목표를 구축하고 기업과 협업에 나서게 된 배경이다.
현재 정부출연연구기관, 성능시험대행자, 대학 등 자동차 관련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미래차 전략 추진단(수소융합얼라이언스추진단 H2KOREA) 등이 구성돼 있다. 그러나 명확한 업무 범위는 물론 업무수행을 위한 예산 지원근거마저 부족한 상황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 차원에서 민관합동 전담기관(또는 추진체)을 구성하고 이들의 명확한 업무 범위 선정, 업무 수행을 위한 예산지원 근거를 규정할 예정이다. 전담기관의 책임성 및 업무 수행 능력 강화는 물론, 관련 전문가 양성에도 나선다는 계획이다.
구체적인 대안 가운데 하나로 국제기준 제정과 개정 현황에 상시 대응할 수 있도록 '국외사무소' 역시 추진하게 된다.
현대차는 아직 구체적인 제시안이 나오지 않았으나 정부의 이런 정책에 적극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는 뜻을 밝혔다. 실질적으로 자율주행과 친환경 전기차ㆍ수소전기차 기술을 보유한 ‘테크니컬 선도기업’인 만큼, 국제기준 선점과 국내 표준의 국제화 등에 동참하겠다는 뜻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그동안 우리 기술의 국제표준화를 위해 정부는 물론 입법부 차원의 지원을 끊임없이 요청해온 것이 사실”이라며 “추진단 구성과 관련해 구체적인 제시안은 아직 없었지만, 정부 차원의 요청이 있다면 적극적으로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