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시장은 이틀째(국고채 10년물 기준) 강세를 기록했다. 10년물 중심으로 강해 일드커브는 전날 스티프닝에서 플래트닝으로 돌아섰다. 물가채도 이틀연속 강세를 이어갔다. 20조원에 달하는 채권시장안정펀드(채안펀드) 등 금융당국의 금융시장 안정화 방안 등이 영향을 미친 때문이다. 미국에서도 재정과 통화정책을 통해 대규모 유동성 공급조치를 단행한 것도 시장 안정에 보탬이 됐다.
반면, 크레딧채권은 여전히 약했다. 특히 기업어음(CP)91일물 금리는 20bp 넘게 폭등해 8개월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 양도성예금증서(CD)91일물 금리도 이틀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채권시장 참여자들은 당국의 금융시장 안정 조치로 주식·채권·환율이 트리플강세를 보였고, 외국인도 오랜만에 국채선물을 동반매수했다고 전했다. 그간 강했던 단기물은 차익실현 등에 상대적으로 약했던 반면, 그간 약했던 장기물을 중심으로 강했다고 평가했다. 다만, 불안한 장세는 계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채안펀드가 시행되는 4월까지는 크레딧채권 시장 불안감도 여전할 것으로 봤다. 추가경정예산을 반영한 4월 국고채발행계획과 미국의 고용지표도 주목할 변수로 꼽았다. 4월 국고채 발행계획은 내일(26일) 발표될 예정이다.
CP91일물 금리는 22bp 급등한 1.87%에 고시됐다. 이는 작년 7월17일 1.90% 이후 최고치다. 17일 1.36% 이후 6거래일간 51bp나 폭등했다. CD91일물 금리도 3bp 상승한 1.10%를 보였다. 전장에도 5bp 오른바 있다.
AAA등급 은행채3개월물 금리 역시 3.8bp 오른 1.169%를 기록했다. 18일 1.041%로 사상 최저치를 기록한 이래 5거래일만에 12.8bp나 올랐다.
회사채 3년물의 경우 AA-등급은 1.9bp 오른 2.025%로 1월20일 2.034% 이후 2개월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 BBB-등급은 2.6bp 상승한 8.232%로 작년 5월15일 8.246% 이후 10개월만에 가장 높았다.
한국은행 기준금리(0.75%)와 국고채 3년물간 금리차는 38.1bp를 기록했다. 10-3년간 스프레드는 6.5bp 축소된 51.6bp를 보였다. 국고10년 명목채와 물가채간 금리차이인 손익분기인플레이션(BEI)은 4.7bp 상승한 33.7bp를 기록했다. 이는 17일 33.8bp 이후 6거래일만에 30bp대를 회복한 것이다.
매매주체별로는 금융투자가 6694계약을 순매수해 5거래일째 매수에 나섰다. 외국인도 2109계약을 순매수해 5거래일만에 매수전환했다. 반면 은행은 8199계약을 순매도하며 나흘째 매도세를 이어갔다.
6월만기 10년 국채선물은 전일보다 103틱(원빅 3틱) 급등한 130.63을 보였다. 마감가가 장중 최고가였던 가운데 장중 저가는 129.50이었다. 장중변동폭은 113틱에 달했다. 미결제는 175계약 증가한 10만2091계약을 보인 반면, 거래량은 3877계약 감소한 4만3921계약이었다. 회전율은 0.43회였다.
매매주체별로는 금융투자가 503계약을 순매수해 9거래일째 매수세를 이어갔다. 이는 2018년 7월17일부터 27일까지 기록한 9거래일연속 순매수 이후 1년8개월만에 최장 순매수 기록이다. 외국인도 407계약을 순매수해 이틀연속 매수에 나섰다. 반면, 연기금등은 779계약을 순매도해 이틀째 매도했다.
현선물 이론가의 경우 3선은 저평 1틱을, 10선은 저평 11틱을 각각 기록했다. 3선과 10선간 스프레드 순거래는 금융투자가 4계약을, 외국인이 4계약을 각각 기록했다.
그는 이어 “크레딧물 약세는 채안펀드 시행시까지 더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단기물도 분기말 영향이 겹쳐 약세을 이어갈 것 같다. 여전히 불안한 상황은 이어질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내일 나올 국고채 발행계획을 주목할 것 같다”고 전망했다.
자산운용사의 한 채권딜러는 “국내외 정책기대에 따라 트리플강세가 연장됐다. 위험자산인 주식이 강했고, 원화채권도 강세를 보였다. 외국인이 오랜만에 3년과 10년 선물을 순매수했다. 물가채 역시 이틀째 초강세를 기록했다”며 “10년 중심의 강세로 3년과 초장기물은 상대적으로 약했다”고 전했다.
그는 도 “외국인 선물 매도세가 진정된 것인지는 정책 작동기대에 대한 금융시장 안정여부에 달린 듯 싶다. 오늘도 여전히 크레딧쪽은 부진한 모습이다. 채안펀드가 구체화되고 있긴 하나 속도가 더딘 상황”이라며 “미국 고용지표 발표후 금융시장이 또 어떤 반응을 보일지 지켜볼 필요가 있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