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통합당의 비례용 위성정당인 미래한국당에 대응하기 위해 진보ㆍ개혁진영에서 떠오른 ‘비례대표 연합정당’ 구상이 난관에 봉착했다. 참여 대상으로 거론되는 군소정당들이 속속 반대 의사를 표명하면서다. 4ㆍ15총선을 앞둔 더불어민주당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비례대표 연합정당의 핵심 중 한 곳으로 꼽히는 녹색당은 4일 “정치전략적 목적의 명분 없는 선거연합은 참여하지 않겠다”며 독자 노선 방침을 밝혔다. 앞서 정의당과 민생당이 선거연합정당에 대해 “연동형비례대표제를 훼손한다”며 반대 입장을 밝힌 데 이어 녹색당까지 불참을 공식화하면서 비례대표 연합정당 논의에도 커다란 차질이 불가피해진 상황이다. 진보 진영 핵심 정당이 대부분 이탈하면 ‘민주당의 위성정당’이라는 비판에서 자유롭기 어렵게 된다.
앞서 주권자전국회의가 주도하는 정치개혁연합은 민주당과 정의당, 민생당, 민중당 및 원외의 녹색당과 미래당에 비례대표를 위한 선거연대를 공식 제안했다. 이는 연동형 비례대표제의 특성을 활용한 일종의 ‘플랫폼’ 정당이다. 범(凡)보수 진영의 비례대표용 위성정당인 미래한국당이 비례대표 의석을 싹쓸이하는 것을 막기 위해 진보개혁 정당들이 연합정당에 비례대표 후보를 파견한 뒤, 선거가 끝나면 당선자들을 본래의 당으로 돌려보내자는 내용이 골자다. 애초 위성정당 창당에 비판적이었던 민주당도 이 같은 구상에는 긍정적인 입장 변화를 보인 바 있다.
현재까지의 흐름대로라면 진보ㆍ개혁 진영의 비례대표 연합정당은 무산되는 수순을 밟고 있다. 다만 민주당이 비례대표 연합정당 구상을 쉽게 버리긴 어렵다는 것이 관계자들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현재로서는 연합정당 구상은 비례 미래통합당의 ‘위성정당 전략’에 대응하기 위한 사실상의 ‘유일한 카드’이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민주당이 연합정당에서 비례 후보를 최소화하거나 후순위 비례 번호를 받는 방식으로 ‘통 큰 양보’에 나설 가능성이 거론된다. 정의당과 민생당 역시 당장은 반발하지만 총선 위기론이 커지면 참여 압박을 받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한편, 진보ㆍ개혁진영 시민단체들이 추진하는 비례대표용 연합정당 ‘정치개혁연합’(가칭)은 3일 오전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창당준비위원회 신고서를 제출했다. 일단 ‘개문발차’ 형식으로 공식 창당한 뒤 개별적으로 범여권 정당과 시민단체의 참여를 독려하겠다는 구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