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부처 관계자에 따르면 펭수는 지난해까지만 해도 몸값이 5000만 원이었다고 한다. 그런데 올해 들어 7000만 원으로 2000만 원이나 올랐다. 결국 이 부처는 홍보예산 부족으로 모시지 못했다는 얘기였다. 그러고 보니 최근에 보건복지부, 교육부, 외교부 등이 펭수를 모시려고 홍보예산이 만만치 않게 지출된 셈이다.
이 부처는 왜 펭수를 활용하려고 했을까. 얘기를 들어보니 정부 부처 평가에서 유튜브 등을 통한 홍보 평가가 강화됐다고 한다. 이때만 해도 그냥 그러려니 했다. 얼마 뒤 한 유력 매체가 단독이라며 이 같은 내용을 기사화했다. 청와대가 유튜브 구독자 1만 명을 달성하라는 지침을 내렸다는 것이다.
이 기사에 따르면 문화체육관광부는 지난달 30일 각 부처에 ‘KPI(핵심 성과 지표) 목표 설정 기준 안내’라는 공문을 보내 각 부처가 유튜브·페이스북 등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 개설한 홍보 채널의 구독자, 조회 수 등을 측정해 평가하겠다고 했다는 것이다.
평가 대상 채널은 모두 5곳으로 유튜브(30%), 페이스북(20%)은 필수로 평가하고 나머지 3곳은 네이버 블로그·트위터·네이버포스트·인스타그램·카카오스토리 중에서 각 부처가 선택하는 방식이다. 특히 디지털소통팀이 설치된 30개 부처에는 유튜브 구독자 1만 명, 미설치된 13개 부처에는 5000명 달성을 요구했다고 한다.
기자는 그냥 재밌다 정도로 생각해서 넘어갔는데 결국 언론계 은어로 ‘물먹은’ 셈이 됐다. 정부가 정책홍보를 위해 유튜브를 강화하는 것은 어느 정도 이해되는 대목이다. 특히 요즘 세대는 뉴스도 유튜브로 보는 상황에서 유튜브를 운영하는 것을 뭐라고 할 일은 아니다. 다만 어떤 내용이냐가 중요할 것이다. 한 경제부처 유튜브에 들어가 봤다. 솔직히 보고 싶은 게 없었다. 단순 경제정책을 홍보한 것이 대부분이었기 때문이다.
모 정부 부처 홍보담당관은 충주시 유튜브가 최근 부처들 사이에서 말 그대로 ‘핫’하다고 해서 충주시 유튜브도 봤다. 뭐가 차이가 있을까. 기자가 봤을 땐 얼마나 ‘공무원’이라는 물을 빼느냐가 핵심인 듯 보였다. 암튼 오늘도 유튜브에 어떤 내용을 올려야 할지 고민하는 공무원들이 있을 것이다. 펭수를 모시기 위해 고심하고 있는 곳도 있을 것 같다.
그러나 이쯤에서 생각해 보면 정부 부처 유튜브가 부처별로 꼭 필요할까? 차라리 정부 정책 홍보를 담당하는 문체부가 총괄해서 공무원 물을 빼고 제대로 운영하는 게 낫지 않을까. 진짜 유튜브를 통한 정책 홍보가 필요하다면 정부가 잘 만드는 태스크포스(TF)를 만들어 운영하면 될 일이다. 예산 낭비는 그만하자.
soqo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