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의료AI의 성장세로 국내도 전략적인 육성 방안이 필요하다는 전문가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가 의약품ㆍ의료기기 인허가 기간을 단축하는 등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전략’을 발표하면서 4차 산업 기반 의료기기 기업들의 기대감이 커졌다. 여기에 전문가들은 미국, 싱가포르 등 국가별 선도적인 AI 관련 정책들을 참고해 전략적인 한국형 정책을 수립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미국은 의료 AI에 파격적인 정책을 도입해 주목받고 있다. 미국 FDA(식약처)는 뇌졸중 컴퓨터단층촬영(CT)영상분석 AI 소프트웨어 허가에 이어 당뇨병성 눈 질환 진단 AI를 의료기기로 최초 승인했다.
또 FDA는 2017년 사전인증제(pre-certify)를 통해 9개 업체를 선정, 이들 기업에 추후 인증 과정도 간소화하기로 했다. 지난해에는 의사 없이도 진단을 내릴 수 있는 1호 AI 의사(IDx-DR)도 허가했다. FDA의 전향적인 정책에 힘입어 미국 기업들의 신의료기술 경쟁 역시 활발하다.
싱가포르는 국가 차원에서 AI강국 도약에 나섰다.
지난해 싱가포르의 미래 디지털 경제를 위해 싱가포르의 AI 역량을 촉진하고 시너지를 내기 위해 ‘AI 싱가포르(AI Singapore)’라는 국가 계획을 수립했다. 이에 AI툴과 비서는 현재 피부암을 감지하고 흉부 엑스레이를 분석하거나 환자의 망막 스캔에서 당뇨를 검진하는 등 의료 현장에서 적극 활용하고 있다.
중국 역시 빠른 발전속도를 보이며 미국을 바짝 뒤쫓고 있다. 중국 정부는 2016년부터 인터넷 기반 기본 헬스케어 서비스 지원법을 제정하고 2020년까지 의료 등을 포함한 인공지능과 애플리케이션 수준을 세계 최정상 수준까지 높이겠다는 인공지능 발전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이미 200여 개의 증상들에 대한 정확한 병명을 진단하는 AI의사 ‘디바이’와 2017년 중국 의사시험을 통과한 AI로봇 의사 ‘샤오이’ 등이 활동 중이다.
이처럼 각국의 진보적인 AI 정책들로 첨단의료기기 산업이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룸에 따라 국내에서도 한국형 AI정책 수립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최태근 메디웨일 대표는 “현재 기술 개발 초기나 기술 상용화에 성공한 기업에 대한 지원은 많지만 기술 개발 후 상용화 단계 이전 의료 AI기업들은 상대적으로 소외돼 있다”며 “재무건전성이나 매출 등을 보고 지원대상을 선정할 것이 아니라 잠재력을 보고 국가적인 지원을 해 줄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비영상 분야에 대한 투자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김광준 세브란스 차세대정보화사업추진단장(노년내과)은 “식약처의 허가를 받았던 의료인공지능 솔루션들은 영상 분야가 대부분이지만 사실 비영상 분야 연구 범위가 더 크다”며 “정부의 지원에 영상 분야에 집중돼 있어 비영상 분야에 뛰어드는 기업이 전무한 만큼 정부의 관련 분야의 육성 전략을 수립이 시급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