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물가 다소 높은 수준vs상승조짐 분명치않다 = 신인석 금통위원은 그동안 물가상승률이 한은 목표치인 2%에 근접하는지를 확인하면서 금리정책을 운용해야 한다고 밝혀왔었다. 이는 7월 금통위 의사록이나 전날(12일) 기자간담회에서의 언급이 사실상 동일하다는 점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실제 7월 의사록과 전날 기자간담회를 비교해보면 7월 금통위 의사록에서 신 위원 추정 위원은 “기대물가 상승률 관리라는 인플레이션 타게팅 통화정책의 취지에 보다 충실하게 물가상승률의 목표치 근접을 확인하며 금리정책을 운용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는 전날 기자간담회에서 신 위원이 언급한 “기대물가상승률의 관리는 통화정책 당국의 책임”, “금리조정은 물가에 초점을 두고 물가상승률의 목표수준으로의 접근에 맞추어 상향조정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말과 일맥상통한다.
반면 두 달 사이 물가 현주소에 대한 인식에는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7월 의사록에서 그로 추정되는 위원은 “관리물가 품목이 최근 정부의 정책적인 상승억제로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의 확대를 제약하고 있는 면이 있으며, 이를 감안하면 실제 소비자물가의 상승압력은 표면적인 수치에 비해서는 다소 높은 수준에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전날 기자간담회에서는 “유가를 포함한 해외요인과 관리물가의 영향을 모두 제거한 물가흐름의 지표를 구해보면 여전히 2012~14년 기간 추세적으로 하락한 후 정체된 모습이다. 아직까지 상승 조짐은 분명하지 않다”고 밝혔다. 물론 7월 의사록에서도 그로 추정되는 위원은 “하반기 물가상승률의 확대속도는 예단하기 어렵다”며 신중론을 펴기도 했지만 말이다.
신 위원은 이같은 입장변화에 대해 ‘기대물가상승률 하락의 원인’이란 카테고리를 통해 설명하고 있다. 그는 “경제주체들의 기대 물가상승률은 상당 부문 과거 경험한 물가상승률 추이에 영향을 받아 결정된다”며 “예전에 겪어보지 못했던 큰 물가충격 사건이 있으면 이 사건이 기대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말했다. 최근 10년간의 관리물가 하락과 2013~14년 무렵 유가 급락이 물가에 충격을 준 사건이라는 부연설명도 덧붙였다.
다만 이같은 모습으로 금리인상이 이뤄진다면 여러모로 모양새가 빠질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이다. 우선 또 한명의 매파는 이주열 총재의 복심인 윤면식 부총재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그로 추정되는 위원은 7월 금통위 의사록에서 “늦지 않은 시기에 기준금리를 인상해 통화정책의 완화정도를 현재보다 축소 조정할 필요성이 상존한다”며 “먼 시계에서의 경기국면 전환에 대비해 통화정책 여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금리 올릴 수 있을 때 올려야 한다”거나 “정책 여력 확보”를 언급했던 이 총재의 평상시 언급과 사실상 같다.
집행간부이기도 한 부총재가 소수의견을 낸 경우는 2004년 11월 소위 ‘금통위의 반란’ 사건 외에는 없다. 당시 이성태 부총재는 금리인하에 반대해 동결 소수의견을 낸 바 있다.
또 인상 4명과 동결 3명으로 갈리면서 금리인상이 이뤄진다면 시장은 사실상 마지막 인상으로 받아드릴 가능성이 높다. 비둘기파의 최전선에 있는 조동철 위원 정도나 소수의견을 내는 6대1 인상은 돼야 향후 추가 인상 가능성을 열어둘 수 있어 보인다.
이밖에도 4대 3 인상이면 이주열 총재의 리더십에도 상당한 상처를 받을 공산이 크다. 실제 김중수 전 총재 시절인 2013년 4월 4대3 동결이 이뤄지면서 김 전 총재가 큰 상처를 받은 바 있다. 그 다음달인 5월 김 전 총재 의지와는 달리 금리인하가 단행됐기 때문이다. 당시 총재 추천 금통위원이었던 문우식 전 위원이 동결 소수의견을 내는 것으로 김 전 총재의 속내만 남기고 끝이 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