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금융위기 10년, 새 위기 전조 보여…채권시장 리스크에 주목하라

입력 2018-03-15 15:48 수정 2018-03-15 16:1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대형 금융기관 붕괴 가능성 낮지만 과도한 부채 급증 등 새 불안요소 등장

▲위 그래프: 신흥국 자본유입 추이. 파란색: 중국 제외·하늘색: 중국. 단위 조 달러. / 아래 그래프: GDP 대비 부채 비율 추이. 파란색: 중국 정부·하늘색:중국 민간·황색: 미국 정부·연한 노란색: 미국 민간. 단위 %. 출처 WSJ
▲위 그래프: 신흥국 자본유입 추이. 파란색: 중국 제외·하늘색: 중국. 단위 조 달러. / 아래 그래프: GDP 대비 부채 비율 추이. 파란색: 중국 정부·하늘색:중국 민간·황색: 미국 정부·연한 노란색: 미국 민간. 단위 %. 출처 WSJ
글로벌 금융위기를 맞은 지 10년이 지난 가운데 세계 각국이 재발 방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새로운 위기 전조가 보이고 있다.

금융위기를 촉발했던 대형 금융기관의 붕괴가 가까운 장래에 다시 일어날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그러나 채권시장 리스크가 고조되면서 새 불안요소로 등장했다고 14일(현지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분석했다.

10년 전 바로 이맘 때 베어스턴스가 구제금융을 받고 JP모건체이스에 넘어갔다. 그 반년 후 리먼브라더스가 파산하면서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했다. 베어스턴스와 리먼의 몰락은 1970년대 이후 거의 10년마다 경제위기를 발생했던 요소들이 있으며 이는 지금도 작용하고 있다. 국경을 넘나드는 막대한 자본, 정부와 기업, 가계가 안고 있는 부채 증가, 위험자산 투자심리를 부추기는 초저금리 등이다.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약 25년간 세계는 경제위기와 무관한 상태였다. 1930년대 대공황과 전쟁을 거치면서 상대적으로 채무 부담이 덜한 가운데 경제성장을 추구하는 것이 가능했기 때문.

1980년대 초부터는 상황이 달라지기 시작했다. 규제 완화로 자본이 국경을 자유롭게 넘나들면서 위기가 주기적으로 일어나게 됐다. 1982년 중남미 채무위기와 1980년대 후반 미국 저축대부조합(S&L) 파산, 1997~1998년 아시아와 러시아를 강타했던 금융위기, 1998~2000년 IT 버블, 2007~2009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와 글로벌 금융위기, 2009~2013년의 유럽 재정위기 등이 우후죽순처럼 발생한 것이다.

세계 각국 금융당국은 10년 전 위기 교훈으로 대형은행 부실화를 막는 것에 노력을 기울였다. 대형은행 완충 자본 확충, 리스크와 관련된 은행 거래 제한, 구제금융이나 무질서한 파산을 피해 위기에 놓인 은행을 정리하는 새로운 절차 등의 조치가 취해졌다.

국제결제은행(BIS)의 신현송 리서치 대표는 지난 2014년 한 강연에서 “규제당국은 과거의 약점에 집중하고 있다”며 “새로운 리스크가 어디에서 비롯될지 살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 대표가 지적한 가장 큰 리스크는 바로 채권시장이다. 자금조달 비용이 줄어든 가운데 채권시장에서 신용이 팽창하면서 많은 국가에서 기업과 정부의 부채 수준이 금융위기 전을 웃돌고 있다는 것이다. 신흥국 기업과 정부는 막대한 달러화 표시 채권을 발행해 달러화 가치 변동에 취약해지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글로벌 금융위기 전 전 세계 투자적격등급 회사채 중 80%는 금리가 4%를 넘었지만 지난해 10월 기준 그 비중은 5% 미만에 불과하다. 금리 부담이 줄어들면서 그만큼 기업들이 채권을 대량으로 발행하게 된다.

미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총부채 비율은 약 250%로, 금융위기 전과 비슷하지만 중국은 이미 미국을 넘어섰다. 2016년 말 미국 기업의 부채는 총자산의 34%에 달해 2000년 이후 최고 수준을 나타냈다.

낮은 금리와 저인플레이션에 힘입어 부채를 상환해야 하는 부담이 그렇게 커지지는 않았다. 그러나 새 위기가 언제 어느 곳에서 어떤 계기로 일어날지 아무도 모른다고 WSJ는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실질금리가 1.5~2.0% 포인트 오른다면 역사적인 기준으로 보면 적게 상승한 것이지만 이탈리아나 포르투갈처럼 재정이 취약한 국가들은 붕괴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중앙은행들도 이점을 우려해 기준금리 인상에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다. 그러나 금리인상 속도가 너무 느리면 부채 상황이 더욱 악화할 수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잠자던 내 카드 포인트, ‘어카운트인포’로 쉽게 조회하고 현금화까지 [경제한줌]
  • '20년 째 공회전' 허울 뿐인 아시아 금융허브의 꿈 [외국 금융사 脫코리아]
  • 단독 "한 번 뗄 때마다 수 백만원 수령 가능" 가짜 용종 보험사기 기승
  • 8만 달러 터치한 비트코인, 연내 '10만 달러'도 넘보나 [Bit코인]
  • 말라가는 국내 증시…개인ㆍ외인 자금 이탈에 속수무책
  • 환자복도 없던 우즈베크에 ‘한국식 병원’ 우뚝…“사람 살리는 병원” [르포]
  • 불 꺼진 복도 따라 ‘16인실’ 입원병동…우즈베크 부하라 시립병원 [가보니]
  • “과립·멸균 생산, 독보적 노하우”...‘단백질 1등’ 만든 일동후디스 춘천공장 [르포]
  • 오늘의 상승종목

  • 11.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3,017,000
    • +3.05%
    • 이더리움
    • 4,382,000
    • -0.9%
    • 비트코인 캐시
    • 597,000
    • +0.67%
    • 리플
    • 803
    • -0.25%
    • 솔라나
    • 289,300
    • +1.15%
    • 에이다
    • 806
    • +1.26%
    • 이오스
    • 774
    • +6.17%
    • 트론
    • 230
    • +0.44%
    • 스텔라루멘
    • 151
    • +1.34%
    • 비트코인에스브이
    • 81,650
    • -1.15%
    • 체인링크
    • 19,220
    • -3.95%
    • 샌드박스
    • 400
    • +2.0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