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9월 발생한 규모 5.8의 경주 지진에 이어 15일 규모 5.4 지진이 경북 포항에서 발생하면서 문재인 정부가 추진 중인 탈(脫)원전 정책에 더욱 힘이 실릴 것으로 보인다.
원전을 운영 중인 한국수력원자력은 “포항 지진에도 발전 정지나 출력 감소 없이 정상 운전 중”이라고 밝혔지만, 1년 2개월 사이에 50㎞도 안 되는 가까운 지역에서 잇따라 지진이 발생한 만큼 원전 안전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어서다.
지금까지 한반도에서 발생한 규모 5.0 이상의 강진은 10차례였다. 이 중 가장 최근에 일어난 경주 지진과 포항 지진은 활성단층인 양산 단층대에서 일어났다. 더욱이 양산단층대에는 울진 한울과 경주 월성·신월성, 부산·울산 고리·신고리 등 총 18기의 원전이 운영 중이고 5기가 건설 중이다.
한수원은 15일 오후 경북 포항시 북쪽에서 지진이 발생하자 “진앙에서 약 45㎞ 거리에 있는 월성원전을 비롯한 모든 원전은 발전정지나 출력감소 없이 정상 운전 중이며 월성 1호기에 지진감지 경보가 발생해 설비를 점검하고 있다”고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도 원전 운영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파악했지만, 여진이 뒤따를 가능성이 있어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
국내 원전 24기는 규모 7.0의 지진을 견딜 수 있는 신고리 3호기를 제외하고 모두 6.5로 내진 설계돼 있다. 정부는 10월 원전 안전기준 강화 방안을 발표하면서 내년 6월까지 모든 원전이 규모 7.0의 지진을 견딜 수 있는 수준으로 내진성능을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한수원은 현재 건설 중인 신고리 5·6호기는 예외적으로 내진성능을 규모 7.4의 지진을 견딜 수 있는 수준으로 강화하기로 했다.
하지만 환경단체는 한반도 지진의 최대 가능 규모인 7.5에 못 미친다며 안전성을 더욱 보강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특히, 유례없이 원전이 밀집해 있는 ‘다수 호기’ 환경 탓에 이에 대한 위험성 분석을 제대로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환경운동연합은 “지난해 경주 지진에 이어 동남부의 양산단층대에서 지진이 일어났다”면서 “동남부 일대에 운영·건설 중인 원전을 축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진앙지에서 2.6㎞ 떨어진 한국가스공사 흥해관리소에서 측정된 최대지반가속도(gal)가 576gal인데 이는 지진규모가 7.5일 때에 준하는 수준”이라며 “양산단층대가 본격적인 활동 단계에 들어간 것 아닌지 우려스럽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