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순위 지각변동 ⑤] 성세환 회장 결국 퇴출…지방은행, 권한집중 도마 위

입력 2017-07-20 09:03 수정 2017-07-20 10:0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BNK, 지주회장-은행장 결국 분리..타 지방은행 '제왕적' 구조는 여전

은행 회장이 시세조종 혐의로 구속된 ‘BNK 사태’는 지방은행의 지배구조를 도마 위에 올려놓기에 충분했다. 회장과 행장, 이사회 의장까지 장악한 ’절대 권력’이 존재하는 것은 비단 BNK만의 문제가 아니기 때문이다. 이런 구조는 은행을 특정인의 ’왕국’으로 만들어버리고, 경영과 인사 투명성 등을 저해하는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금융당국의 느슨한 감독도 지방은행의 지배구조를 선진화시키지 못한 결정적인 요인으로 꼽힌다.

19일 BNK금융지주 임원후보추천위원회(이하 임추위)는 제2차 회의를 열고 시세조종 혐의로 구속 수감 중인 성세환 회장의 자진사퇴가 아닌 이사회 결의를 통한 퇴출 쪽으로 방향을 잡았다. 특히 지주사 회장과 최대 계열사인 부산은행장을 분리하기로 결정하면서, 다른 지방은행 지배구조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임추위 결론에 따라 차기 BNK금융 최고경영자는 지주 회장직만 수행한다. 부산은행장은 별도의 임추위를 구성해 선임 절차를 밟을 예정이다.

BNK금융은 지난 13일 1차 회의에서 사내이사인 성 회장을 제외시킨 이봉철 비상임이사와 김영재·김찬홍·차용규 사외이사 등 4명으로 임추위를 꾸렸는데, 이날 문일재·윤인태 2명의 사외이사를 추가해 6명의 사외이사 전원을 위원으로 위촉하기로 했다.

◇ 회장-행장 분리하는 BNK…他 지방은행 확산 예상 = 현재 지방은행은 부산·경남·대구·광주·전북·제주은행 등 6곳이다. 이들 6개 지방은행에서 신한금융그룹 관계사인 제주은행을 제외하고 나머지 5개 은행은 크게 3개 금융지주로 묶여 있다.

BNK금융지주 내에는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이, JB금융지주 계열사로는 전북은행과 광주은행, DGB금융지주 소속 대구은행이 각각 존재한다. 3대 지방은행지주 전부 회장이 행장을 겸임하고 있다는 면에서 BNK금융과 동일한 지배구조 형태를 갖추고 있다.

지역은행 금융지주들이 이 같은 지배구조를 유지하는 것은 신속한 의사 결정을 위해서다. 지역 특성상 회장과 행장의 힘겨루기와 ‘줄서기’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경우 조직 전체가 위기에 봉착하게 된다는 게 주된 이유로 꼽힌다.

하지만 지방은행 선두주자인 BNK금융이 회장으로부터 행장 지위를 떼어내면서 지방은행 전체로 권한 분산 논의가 급물살을 탈 것으로 예상된다.

◇ ‘6년 장기집권’ DGB·JB vs ‘7년 만에 권한분산’ 나선 BNK = DGB금융그룹은 박인규 DGB금융지주 회장이 대구은행장도 맡고 있다. 올해 3월 3년 연임에 성공한 박 회장의 임기는 오는 2020년 3월까지다. 2014년부터 지주 회장 겸 행장인 점을 감안하면 6년의 장기 집권이 보장된 셈이다.

김한 JB금융지주 회장 겸 광주은행장 역시 2013년 7월 초대 JB금융 회장으로 선임됐다. 2014년 11월부터는 JB금융에 인수된 광주은행장도 겸하고 있다. 김 회장 임기는 2019년 3월까지다.

그러나 2011년 금융지주사로 전환한 BNK금융이 그동안 이장호 회장과 성세환 회장이 지주 회장과 부산은행장을 겸임해온 겸직체제를 7년 만에 해소한다. 또 BNK금융 사외이사들은 경영진 교체를 통해 차기 경영진 후보를 회사 내부와 외부 모두에서 공모하기로 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KB 사태’를 봉합하는 과정에서 과도기적으로 선택한 회장·행장 겸직체제가 시중은행에는 이례적인 일인 만큼, 이제는 지방은행도 내부통제 시스템 강화 측면에서 집중된 권한을 분산시켜야 하는 시점에 접어들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지방은행의 경우 지방의 주요 유력 인사들과 연결돼 있어 감독 자체를 개입으로 받아들여 관리가 굉장히 어렵다"며 "지방의 특성은 이해하지만, 은행이 갖춰야 할 일반적인 내부통제시스템은 반드시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잠자던 내 카드 포인트, ‘어카운트인포’로 쉽게 조회하고 현금화까지 [경제한줌]
  • '20년 째 공회전' 허울 뿐인 아시아 금융허브의 꿈 [외국 금융사 脫코리아]
  • 단독 "한 번 뗄 때마다 수 백만원 수령 가능" 가짜 용종 보험사기 기승
  • 8만 달러 터치한 비트코인, 연내 '10만 달러'도 넘보나 [Bit코인]
  • 말라가는 국내 증시…개인ㆍ외인 자금 이탈에 속수무책
  • 환자복도 없던 우즈베크에 ‘한국식 병원’ 우뚝…“사람 살리는 병원” [르포]
  • 불 꺼진 복도 따라 ‘16인실’ 입원병동…우즈베크 부하라 시립병원 [가보니]
  • “과립·멸균 생산, 독보적 노하우”...‘단백질 1등’ 만든 일동후디스 춘천공장 [르포]
  • 오늘의 상승종목

  • 11.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3,224,000
    • +3.35%
    • 이더리움
    • 4,389,000
    • -0.9%
    • 비트코인 캐시
    • 599,000
    • +0.93%
    • 리플
    • 803
    • -0.37%
    • 솔라나
    • 290,200
    • +1.72%
    • 에이다
    • 798
    • -0.62%
    • 이오스
    • 776
    • +6.3%
    • 트론
    • 230
    • +0.44%
    • 스텔라루멘
    • 151
    • +1.34%
    • 비트코인에스브이
    • 81,900
    • -0.18%
    • 체인링크
    • 19,280
    • -3.7%
    • 샌드박스
    • 402
    • +2.2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