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집값과 전셋값이 높을수록 인구 부족 현상이 심화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비수도권은 고용 불안정과 청년 인구 유출이 출산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국토연구원은 ‘국토 불균형과 저출산의 관계’ 보고서를 통해 지역별로 출산율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 관련 요건이 다르다고 밝혔다.
수도권에서는 아파트 매매·전세가 증가 등 주거
수도권은 주거 불안정이, 지방은 고용 안정이 출산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저출산 대응을 위해서는 수도권은 청년가구의 주거안정성 개선, 지방은 안정적인 고용 기반과 정주 환경을 강화하는 균형발전정책을 확대 추진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12일 국토연구원이 발표한 ‘국토 불균형과 저출산의 관계(지역별 고용·주거 불안정이 출산율
2분기 이후 출생아 수가 회복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다만, 최근 인구구조 변화와 합계출산율, 조출생률 추이를 고려할 때 최근 증가세가 지속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된다.
28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8월 출생아는 2만98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1124명(5.9%) 늘었다. 1~8월 누계는 15만8044명이다. 1~8월
올해 4월 출생아 수가 1년 전보다 521명 늘면서 2022년 9월 이후 19개월 만에 반등에 성공했다.
출생아 수가 크게 줄었던 작년 4월 기저효과와 2022년 8월 이후 나타난 혼인 증가 추세가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혼인 건수는 전년보다 24% 넘게 늘면서 동월 기준 역대 최대 증가폭을 보였다.
통계청이 26일 발표한 4월 인구동향에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3일 "저출산 문제에 대해 근본적이고 거국적인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민주당은 저출산 대응을 위한 여야정 협의기구 설치를 제안드린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진행된 최고위원회의에서 "국가 역량을 총동원해서 결혼·출산·양육·교육·취업을 아우르는 포괄적 수립 대책을 추진하고 힘을 모아 적극 추진해야 한다"며 이같이
올해 1분기 합계출산율이 0.76명으로 같은 분기 기준 역대 최저를 경신했다. 여성 한 명이 평생 아이를 1명도 낳지 않는 현상이 더 심화하고 있다는 의미다.
이런 추세라면 올해 연간 합계출산율이 0.6명대로 주저 앉을 가능성이 커졌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2024년 3월 인구동향'을 보면 올해 1분기(1~3월) 합계출산율은 0.76명으로 전년동
올해 2월 출생아 수가 한 달 만에 1만 명대로 내려가면서 동월 기준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통계청이 24일 발표한 인구동향에 따르면 올해 2월 출생아 수는 1만9362명으로 1년 전보다 658명(3.3%) 줄었다. 이는 동월 기준으로 월간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81년 이래 역대 최저치다.
여성의 출산연령이 갈수록 높아지고, 저출산 기조가 심화되면서
올해 1월 출생아 수가 10개월 만에 2만 명대로 올라섰다. 특히 출산과 관련된 혼인 건수가 37개월만에 2만 건을 넘어서면서 출생아 수 반등의 신호탄이 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인구동향에 따르면 올해 1월 출생아 수는 2만1442명으로 1년 전보다 1788명(7.7%) 감소했다. 이는 동월 기준으로 월간 통계 작성이 시작
지난해 11월 출생아 수가 1만7000명대로 내려가면서 동월 기준 역대 최저를 기록하고, 2022년 12월 이후 가장 적은 수치를 보였다.
이런 추세라면 지난해 연간 출생아 수가 역대 최저치를 경신할 가능성이 커졌다.
24일 통계청이 발표한 인구동향에 따르면 작년 11월 출생아 수는 1만7531명으로 전년 같은 기간(1만8981명)보다 1450명(7
출산·저출생 대책 제안합니다. 그냥 대책 아닙니다. 과학적·객관적 근거 기반 대책입니다.
먼저 저출산·저출생 용어부터 정리합시다. 합계출산율(출산율)이 낮은 상태가 저출산, 출산율이 높아도 가임여성 부족으로 조출생률(인구 1000명당 출생아 수, 출생률)이 낮은 상태가 저출생입니다. 서울은 저출산, 지방은 저출생이 적절하겠죠. 두 용어는 의미가 명확하
정부가 점진적으로 ‘저출산’ 용어를 ‘저출생’으로 대체하는 추세다.
17일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인 대한민국 정책브리핑에 따르면, 지난해 1월 30일(교육부)부터 이날까지 기획재정부와 교육부, 행정안전부, 국무조정실, 보건복지부, 고용노동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질병관리청,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경제사회노동위원회 등 10개 정부기관이 총 54회 공식
올해 10월 출생아 수가 동월 기준 역대 최저를 기록하고, 전년대비 13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이런 추세라면 올해 연간 출생아 수가 역대 최저를 경신하고, 연간 합계출산율(가임 여성 한 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아이 수)도 0.7명초반으로 내려가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할 전망이다.
27일 통계청이 발표한 인구동향에 따르면 올해 10월 출
최근 들어 ‘저출산’과 ‘저출생’이란 표현이 혼용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저출생은 저출산의 대체 용어다. 저출산이란 말이 저출산 문제의 책임을 여성에게 전가한단 지적에 따라 쓰이기 시작했다. 국회에서도 저출산 용어를 저출생으로 바꾸는 내용의 법률안이 다수 발의돼 있다.
문제는 저출산을 저출생으로 바꿔 무엇을 해결할 수 있느냐다.
먼저 저출생이란 말에
올해 8월 출생아 수가 동월 기준 역대 최저를 기록하고, 전년대비 11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통상 상반기보다 하반기엔 출산율이 낮아지는 경향을 고려하면 올해 연간 합계출산율(가임 여성 한 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아이 수) 0.7명 붕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25일 통계청이 발표한 '8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올해 8월 출생아
올해 7월 출생아 수가 1년 전보다 7%가까이 줄면서 동월 기준으로 역대 최저를 경신했다.
사망자 수는 고령화 추세 여파로 8% 넘게 늘었다.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를 여전히 웃돌면서 국내 인구는 45개월 연속 자연감소를 지속했다.
2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7월 인구동향'을 보면 7월 출생아 수는 1만9102명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137
올해 5월 출생아 수가 2만 명을 밑돌면서 동월 기준으로 역대 최저를 경신하고, 전년대비 90개월 연속 감소세를 지속했다.
통계청이 26일 발표한 2023년 5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5월 출생아 수는 1만8988명으로 1년 전보다 1069명(5.3%) 감소했다. 이에 따라 출생아 수는 전년대비 90개월째 감소세를 이어갔다. 다만 전달(1만8484명)대비로
올해 4월 출생아 수가 작년 12월 이후 가장 적은 1만8484명을 기록하며 다시 2만 명 아래로 내려왔다.
4월 기준으로는 역대 최저의 출생아 수를 기록했고, 89개월 연속 감소세가 지속됐다.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2023년 4월 인구동향을 보면 4월 출생아 수는 1만8484명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12.7% 감소했다. 이에 따라 출생아 수는
올해 1분기 합계출산율이 0.81명으로 동 분기 기준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여성 한 명이 평생 아이를 1명도 낳지 않는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는 의미다.
여성의 출산연령 또한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통계청이 24일 발표한 '2023년 3월 인구동향'을 보면 올해 1분기(1~3월) 합계출산율은 0.81명으로 전년동기대비 0.06
올해 2월 출생아 수가 1만9939명을 기록하면서 동월 기준으로 역대 최저를 경신하고, 87개월 째 감소세를 이어갔다.
사망자 수는 코로나19 완화에 따른 고령층 사망 감소 영향을 크게 줄었지만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를 여전히 웃돌면서 국내 인구는 40개월 연속 자연감소를 지속했다.
26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2월 인구동향'을 보면 2월 출
올해 1월 출생아 수가 2만3000명대를 기록하면서 또 동월 기준 역대 최저치를 찍으며 86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사망자 수는 3만2703명으로 월 통틀어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국내 인구는 39개월 연속 자연감소를 지속했다.
통계청이 22일 발표한 '2023년 1월 인구동향'을 보면 올해 1월 출생아 수는 2만3179명으로 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