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수선한 탄핵 정국으로 인해 매화가 피는 줄도 모르고 있었던 것 같다. 남쪽으로부터 올라오는 매화 소식이 반갑다. 진짜 봄이 오나 보다. 매화와 함께 가슴 따뜻한 봄을 맞도록 하자.
매화(梅花)의 梅는 ‘木+每’의 구조로 이루어진 글자인데 ‘木’은 나무의 모양을 형상화한 것이고 ‘每’는 머리에 비녀를 꽂은(?) 어머니(母)의 모습을 형상화한 글자이다. 매
조선 철종~고종시대 서얼 출신의 가객 안민영(安玟英·1816~?)은 1876년 스승 박효관(朴孝寬)과 함께 시가집 ‘가곡원류(歌曲源流)’를 편찬해 우리 시조를 정리한 사람이다. 그의 매화사(梅花詞)는 스승의 집에 갔을 때 막 피어나는 매화를 보고 지은 것으로 모두 8수나 된다.
“어리고 성긴 가지 너를 믿지 않았더니/눈 기약 능히 지켜 두세 송이 피었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