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경기가 위축되고 있음에도 올해 2분기 기준 15~64세 고용률이 68.9%로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이 같은 ‘성장 없는 고용’ 현상이 지속한다면 고용의 질이 악화하고 노동시장 양극화가 심화할 것이란 지적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12일 한국노동경제학회 소속 경제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성장 없는 고용 관련 전문가 인식 조사’를 실
금융지주 회장 3명이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해 연봉 30%를 반납하겠다고 밝힌 이후 금융회사 경영진들이 줄줄이 연봉 일부를 반납하겠다고 나섰다.
신한, KB, 하나금융지주 계열 대표들은 연봉 20%를, 임원은 10% 반납을 결정했고, BNK, DGB, JB 등 지방금융지주 회장도 연봉 20%를 반납하겠다고 밝혔다.
이광구 우리은행장은 연봉 20%를, 부
2008년의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성장없는 고용 증가세가 이어지면서 고용의 질이 나빠지고 있다. 노후 대비를 하지 못한 상당수 장년층들이 노동시장을 떠나지 못하고,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가 늘면서 저성장 기조에서도 고용이 늘었지만 투자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서 고용의 질이 악화된 것이다.
1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국내총생산(GDP)이 1% 성장할
◆ '성장없는 고용 증가세' 뚜렷…고용의 질 악화
2008년의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성장없는 고용 증가세가 이어지면서 고용의 질이 나빠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1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국내총생산(GDP)이 1% 성장할 때 늘어나는 취업자 수를 나타내는 성장의 고용 탄력성은 2000∼2007년 평균 6만6천명이었으나, 금융위기 이후인 2011∼20
2008년의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성장없는 고용 증가세가 이어지면서 고용의 질이 나빠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1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국내총생산(GDP)이 1% 성장할 때 늘어나는 취업자 수를 나타내는 성장의 고용 탄력성은 2000∼2007년 평균 6만6천명이었으나, 금융위기 이후인 2011∼2014년에는 평균 14만8천명으로 증가했다.
경기 회복이 더딘데도 제조업 부문의 일자리가 꾸준히 늘고 있다.
32개월 연속으로 늘어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최대 수준까지 불어났다.
제조업은 기술 진보와 공장 해외이전 영향으로 일자리 창출력이 한계에 봉착했다는 지적을 받아 온 만큼 이런 증가세는 주목할 만하다.
그 배경을 놓고 새로운 제조업의 출현, 베이비부머들의 활발한 구직활동,
올해 국내 기업들이 채용 계획을 보수적으로 잡았다. 올해 경기도 녹록지 않은 만큼 채용 규모를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할 것으로 분석됐다.
이번 설문조사에서 조사 대상 대기업 10곳 중 9곳이 ‘작년과 비슷한 수준을 뽑을 것’이라고 응답했다.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채용 규모가 ‘지난해와 비슷할 것’이라고 대답한 기업은 89%로 가장 많
통계상 착시효과를 일으키는 일부 경제지표 때문에 경제수치와 체감경기간 간극이 확대되면서 경제정책의 오류 가능성도 갈수록 커지고 있다.
21일 경제부처와 경제전문가 등에 따르면 눈속임을 유발하는 통계수치로 인해 경제성장률과 고용률은 나아진 것으로 나타나지만 정작 살림살이는 여전히 냉골에 머물고 있어 국민의 소외감과 박탁감을 부추키는 것은 물론 경제정책 수립
2000년대 들어 성장으로 인한 고용 창출 능력이 과거에 비해 하락한 것은 산업 및 경제 구조적 요인 외에 베이이부머(1955~1963년생)의 은퇴 등 인구구조의 변화도 영향을 미쳤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정선영 한국은행 미시제도연구실 전문연구원은 2일 ‘인구구조 변화가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우리나라의 인구구조는 저출산의 확산, 평균수명의 연장,
정부가 4일 고용률 70% 달성을 위한 일자리 로드맵을 발표하면서 과연 얼마나 일자리가 늘어야 목표달성을 이룰 수 있는 지 관심이 집중된다. 또 지난 MB정부와 비교했을 때 가능성은 어느정도 인지도 궁금증 대상이다.
박근혜 정부가 고용률 70% 달성을 위해 필요로 하는 일자리 수는 238만개이다. 전 정부인 이명박 대통령이 출범 초기 내세운 300만개 일
박근혜 정부가 고용률 70% 달성을 위한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는 5년간 고용률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수준인 70%로 올리겠다는 박근혜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다.
이를 위해 상상력과 창의성, 과학기술에 기반한 창조경제의 실현으로 새로운 시장과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고 일자리 나눔형 동반고용전략을 추진해 좋은 일자리를 많이 늘리겠다고 밝혔다.
하
국내 주요 기관·연구원에서 최근‘성장 없는 고용’에 대한 우려가 잇따르고 있다.
정홍원 국무총리가 4일 박근혜 정부의 주요 공약 중 하나인 ‘고용률 70% 달성’ 로드맵을 발표할 예정인 가운데, 베이비붐 세대 은퇴라는 자연적 요인 외에도 숫자에 급급한 정부의 일자리 대책이 성장없는 고용에 한몫했다는 지적이다.
이론적으로 성장과 고용은 선순환이 이
박근혜 정부가 국정과제로 내세운 고용률 70% 달성이 임기내 어렵다는 전망이 민간경제연구소에서 나왔다. 고용률 70%를 달성하려면 매년 8%대의 경제성장을 이뤄야 가능해 2017년 달성은 촉박하다는 분석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은 2일 ‘성장없는 고용은 고용 없는 성장만큼 위험하다’ 보고서에서 “새 정부가 2017년까지 고용률 70%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5년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