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무버] “소수펀드·고객소통·절대수익 추구 손자에게 물려주는 100년 펀드로”

입력 2014-03-20 09:59 수정 2014-03-20 10:5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강방천 에셋플러스자산운용 회장

“올해는박스권 장세가 예상된다. 이같은 국면에서는 수출경쟁력이 높은 소비재 업종에 주목해야 한다. 제2의 오리온 같은 종목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지난 3월 판교로 본사를 이전한 후 언론과 첫 대면을 한 강방천 에셋플러스자산운용 회장은 이같이 강조했다.

강 회장은“판교 이전은 미래산업을 이끌어갈 젊은 기업과 2030 직장인과 투자지혜를 나눌 수 있다는 점에서 큰 기회”라며 “에셋플러스 펀드를 할아버지가 손자에게 물려 줄 수 있는 100년 펀드로 키우고 싶다”고 밝혔다.

올해는 총 4종의 공모펀드 가운데 절대수익 유형의 ‘에셋플러스 해피드림투게더 펀드’를 적극적으로 마케팅 할 계획이다. 2012년 말에 출시된 이 펀드는 연 평균 9%의 절대수익을 추구하고 있다. 강 회장은 “요즘 같은 저금리, 저성장 국면에선 평균 수익 이상의 기업을 고르는 안목과 능력이 검증 된 전문가들이 운용하는 펀드에 관심을 돌려야 한다” 고 말했다.

평소 중국 애찬론자로도 잘 알려진 강 회장은 오는 5월 상해에 위치한 복단대 대학원 금융 부문 최고경영자 과정에 입학한다. 최근 긴축설로 몸살을 앓고 있는 중국에 대해서 그는 다른 관점에서 바라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 회장은 “중국경제 체력이 5년 전보다 2배가 높아졌기 때문에 현재 경기 둔화를 나쁘게만 볼 필요가 없다”며 “오히려 지금 같은 위기 국면에서 경쟁력으로 살아남을 수 있는 각 산업별 1등 기업 옥석 가리기에 집중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다만 강 회장은 올해 국내 증시가 박스권을 돌파하기 힘들 것이라고 지적했다. 기업들의 시가총액을 결정하는 변수는 기업이익과 PER(주가수익비율)인데, 올해는 이 두 가지 요인이 낙관적으로 전개 될 가능성이 적다는 판단에서다.

강 회장은 “PER이 오르기 위해서는 기업의 질이 지속가능하고 변동성이 적고, 예측가능한 수준에서 확장해야 하는데 대다수 상장기업에서 이같은 시그널을 찾기 어렵다”며 “따라서 오리온이나 아모레퍼시픽 같은 수출 경쟁력을 갖춘 소비재 기업들에 주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긁어 부스럼 만든 발언?…‘티아라 왕따설’ 다시 뜨거워진 이유 [해시태그]
  • 잠자던 내 카드 포인트, ‘어카운트인포’로 쉽게 조회하고 현금화까지 [경제한줌]
  • 단독 "한 번 뗄 때마다 수 백만원 수령 가능" 가짜 용종 보험사기 기승
  • 8만 달러 터치한 비트코인, 연내 '10만 달러'도 넘보나 [Bit코인]
  • 말라가는 국내 증시…개인ㆍ외인 자금 이탈에 속수무책
  • 환자복도 없던 우즈베크에 ‘한국식 병원’ 우뚝…“사람 살리는 병원” [르포]
  • 트럼프 시대 기대감 걷어내니...高환율·관세에 기업들 ‘벌벌’
  • 소문 무성하던 장현식, 4년 52억 원에 LG로…최원태는 '낙동강 오리알' 신세?
  • 오늘의 상승종목

  • 11.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4,920,000
    • +4.31%
    • 이더리움
    • 4,474,000
    • +0.92%
    • 비트코인 캐시
    • 614,000
    • +3.02%
    • 리플
    • 822
    • +1.48%
    • 솔라나
    • 306,000
    • +7.67%
    • 에이다
    • 842
    • +2.18%
    • 이오스
    • 782
    • +4.83%
    • 트론
    • 231
    • +0.43%
    • 스텔라루멘
    • 154
    • +2.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3,750
    • -1.82%
    • 체인링크
    • 19,840
    • -1.15%
    • 샌드박스
    • 413
    • +4.2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