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왕 직속기구인 요르단국가부패방지위원회는 지난달 초 부패방지 강령과 세부실행 계획을 확정했다. 압둘라 2세가 부패와의 전쟁을 선포한 이후 본격적으로 행동에 나선 것이다.
요르단 정부는 지난해 8월 내무부와 재정부 등 14개 정부 부처에서 23명의 장차관을 교체하는 내각 전면 개편을 단행했다.
전문가들은 정치권 인사를 배제하고 테크노크라트(기술관료)들을 대거 등장시켜 경제개혁을 강화하려는 의지를 보였다고 평가했다.
개혁 성향의 압둘라 엔수르 총리는 지난해 3월 취임 이후 재정적자를 줄이고자 유류비와 빵값 보조금 삭감 등의 강력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요르단은 이전까지 매년 23억 달러를 보조금으로 지출했다. 이는 정부 연간 예산의 4분의 1에 이르는 막대한 금액이다.
요르단 경제는 지난 2011년 시리아 내전 발발로 타격을 받았다. 시리아 난민들이 요르단으로 유입되면서 경제에 막대한 부담을 안긴 것이다. 요르단에 유입된 시리아 난민은 현재 60만명이 넘는다. 요르단 인구가 지난해 650만명 수준이었다는 것을 감안하면 난민은 전체 인구의 약 10분의 1에 이르는 셈이다.
지아드 파리츠 요르단중앙은행 총재는 “시리아 난민 유입으로 요르단 성장률이 최소 2%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본다”며 “만일 시리아 사태가 없었다면 요르단 경제성장률은 5%에 달했을 것”이라고 한탄했다.
요르단은 지난 2012년 시리아 난민 유입에 따른 부담을 견디지 못하고 국제통화기금(IMF)으로부터 20억 달러(약 2조1300억원)의 구제금융을 받기도 했다.
그러나 요르단의 중장기 전망은 비교적 밝다는 평가다. 지난 1999년 즉위한 압둘라 2세는 시장개방과 친서방 정책을 펼치면서 요르단의 발전을 이끌었다. 압둘라 2세 즉위 이후 10년간 요르단 경제성장률은 연평균 7%를 기록했다. IMF는 지난달 보고서에서 “요르단 경제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며 “성장률이 지난 2012년의 2.7%에서 지난해 3.0%로 올랐을 것으로 추정되며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6.5%에서 3% 미만으로 떨어졌다”고 밝혔다.
헤리티지재단의 ‘2013년 경제자유지수’순위에서 요르단은 33위를 기록했고 중동ㆍ북아프리카에서는 4위를 차지했다. 요르단은 미국, 캐나다, 싱가포르, 터키, 유럽연합 등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했으며 아랍자유무역협정(GAFTA) 회원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