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른 고령화 속에 장애인 10명중 4명이 장애노인인 것으로 나타나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7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장애노인의 실태와 과제’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장애인 중에서 만 65세 이상 노인의 비율은 38.8%(2011년 기준)이었다. 2005년 32.5%, 2008년 36.1%과 비교하면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이다.
장애인구 중에서도 취약계층으로 꼽히는 장애노인은 국내 장애인구 268만3000명의 약 5분의 2 수준인 101명4000명에 달한다.
이같이 장애노인이 늘어나는 이유는 의료기술 발전 등으로 인한 장애인의 수명이 늘어나고, 노인층 때 장애를 얻는 경우가 많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로 장애노인의 장애 발생 시기는 만 60세 이상인 노년기가 58.7%로 가장 많았고 청·장년기(19~59세)는 33.1%, 발달기(18세 이하)는 8.2%에 그쳤다.
장애별로 보면 지체장애가 51.7%로 가장 많았고, 청각장애(16.3%), 뇌병변장애(14.5%), 시각장애(11.2%)가 그 뒤를 이었다.
장애노인은 장애 등급 상으로는 경증(4~6급, 67.6%)이 가장 많았지만, 이들 중 31%는 일상생활 시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했다. 장애노인의 18%는 혼자 외출이 불가능했으며, 교통수단 이용을 제외한 전화사용, 식사준비, 빨래 등 ‘수단적 일상생활’ 자립률은 70% 수준으로 전체 노인보다 자립률이 20%P 이상 떨어졌다.
보건사회연구원은 “노인복지사업과 장애인복지사업 제공기간의 연계망을 구축하고 욕구가 가장 높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며 “노년기에 장애노인의 장애 발생이 가장 많다는 점을 고려할 때 만성질환 예방과 건강재활 프로그램 등을 보급·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